홈페이지 수정 요청

[사행원] 문화예술경영학과 학과소개 업데이트 요청

작성일 2022-02-15 10:27

작성자 채종욱

조회수 2509

수정

1. 제목 : [사행원] 문예창작학과 학과소개 업데이트 요청
2. 연락처 / 성명:  8098 / 채종욱
3. 요청사항  1
    1) URL : http://top.hannam.ac.kr/sub3/menu_15_3.html
    2) 내용:  교과과정 수정

영역별 교 과 목 명 시간 학점 비고

                    공



예 술 학 연 구
현 대 철 학 과 문 화
동 서 문 화 예 술 비 교 론
문 화 사 회 학
현 대 예 술 과 테 크 놀 로 지 연 구
생 활 문 화 예 술 연 구 방 법 론
문 화 예 술 교 육 심 리 학
문 화 경 제 학 연 구
문 화 정 책 연 구
문 화 예 술 법 과 제 도 분 석 세 미 나
지 역 학 연 구
문 화 산 업 론 연 구
현 대 문 화 와 지 역 문 화 론
문 화 예 술 자 원 과 콘 텐 츠 개 발 연 구
국 제 문 화 예 술 교 류 론
다 문 화 커 뮤 니 케 이 션
공 공 성 과 문 화 연 구
예 술 문 화 경 영 워 크 숍
프 로 젝 트 연 습 1 / 2
논 문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문 화 예 술 기 관 연 구
문 화 예 술 마 케 팅 전 략 연 구
문 화 예 술 창 업 론 연 구
문 화 예 술 복 지 론 연 구
문 화 소 비 자 행 동 분 석 연 구
기 업 문 화 마 케 팅 전 략 론
조 직 경 영 행 동 론 연 구
문 화 자 원 과 정 보 경 영 연 구
지 역 재 생 과 지 역 문 화 개 발 연 구
전 통 문 화 산 업 론
도 시 계 획 과 문 화 정 책
창 조 도 시 와 문 화 경 영
미 술 관 박 물 관 경 영 론
미 술 시 장 연 구
공 연 예 술 마 케 팅 론
총 체 예 술 콘 텐 츠 개 발 연 구
상 품 미 학 과 문 화 상 품 개 발 론
문 화 예 술 인 재 개 발 관 리 론
문 화 재 개 발 과 관 리 연 구
지 적 재 산 권 경 영 론
재 원 조 성 론 연 구
재 무 회 계 연 구
사 회 조 사 방 법 론 연 구
사 회 통 계 분 석 연 구
사 례 조 사 연 구 세 미 나 1 / 2
인 턴 십 1 / 2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근 · 현 대 미 학 특 수 론 연 구
아 시 아 문 화 와 미 학 연 구
미 술 사 방 법 론 연 구
근 · 현 대 미 술 사 연 구
아 시 아 문 화 와 근 · 현 대 미 술 론
한 국 근 · 현 대 미 술 세 미 나
지 역 미 술 과 작 가 개 발 론
현 대 미 술 비 평 연 구
박 물 관 · 미 술 관 학 세 미 나
문 화 예 술 교 육 프 로 그 램 개 발 연 구
아 동 미 술 교 육 론 세 미 나
미 디 어 아 트 세 미 나
미 디 어 커 뮤 니 케 이 션 론 연 구
영 화 사 세 미 나
현 대 미 술 과 패 션 미 디 어 비 평
공 공 미 술 과 지 역 문 화 연 구
무 대 예 술 론 연 구
신 체 예 술 론 연 구
의 복 미 술 론 연 구
커 뮤 니 티 아 트 특 수 세 미 나
전 시 심 층 분 석 특 수 세 미 나
작 품 심 충 분 석 특 수 세 미 나
작 가 심 층 분 석 특 수 연 구
인 턴 십 1 / 2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70****과목 210 210







    요청사항  2
    1) URL : http://top.hannam.ac.kr/sub3/menu_15_4.html
    2) 내용: 교과목 수정
[공통과목]
■예술학연구 (Studies on Theories of Arts)
예술학의 주요이론과 방법론에 대하여 역사적인 맥락과 흐름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예술학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특정 이론가나 주요 개념들을 심층 연구함으로써 다양한 예술장르에 대한 이해와 동시대 문화예술의 흐름과 전개양상에 대한 이론적 깊이를 심화한다.

■현대철학과 문화 (Contemporary Cultural Philosophies)
현대철학의 주요 흐름을 이해하는 동시에 현대철학에서 쟁점적으로 다뤄지는 문화담론을 체계적이고 심층적으로 이해하여 동시대 문화현상이 보여주고 있는 다양한 현상들과 문제들을 철학적으로 접근하고 그 의미와 특성에 대하여 토론하고 연구한다.

■동서문화예술비교론 (Comparative Theories i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Culture and Art)
동서양 문화예술의 특징과 양태, 그리고 발전과정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써 동·서양 문화예술의 차이점과 공통점, 그리고 특수성과 보편성을 탐구하고 다양한 사례조사를 통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이 문화 연구와 다문화 이해 방법을 심층적이고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문화사회학 (Cultural Sociology)
다양한 문화이론과 사회학의 주요 쟁점과 실증적 이론을 통하여 문화가 사회적 제도나 구조에 미치는 영향과 역사적 변동과정에 대하여 다각적으로 점검하고 이해함으로써 동시대 문화의 사회적 가치와 의미, 그리고 기능과 역할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현대예술과 테크놀로지연구 (Contemporary Art and Technology)
뉴 미디어 테크놀로지가 현대예술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에 대하여 다각적으로 연구하다.

■생활문화예술연구방법론 (Methodologies in Present Culture and Art)
현대문화론과 문화이론을 비롯하여 사회학, 인류학, 민속학 등 다양한 학제 간 연구를 통하여 근대적 문화예술개념에서 벗어난 폭넓은 문화적 개념을 연구하며 그 연구대상은 의식주를 비롯하여 인간생활과 삶을 기반으로 한 문화예술 행태와 활동 등을 다룬다.

■문화예술교육심리학 (Educational Psychology in Culture and Art)
문화예술교육사로서의 교수역량의 기초가 되는 교육심리학의 내용을 교육학적인 관점과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검토하고 학습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현장에서 창작활동과 감상활동에 실제로 적용 가능한 교육심리학적 실무능력과 지식을 습득하고 배양한다.

■문화경제학연구 (Contemporary Perspectives in Cultural Economy)
문화예술은 미적 대상으로 다루기보다는 경제학적 관점에서 이해한다. 문화예술의 산업적 특성과 시스템, 수요와 공급, 조직형태 등을 경제학의 기본개념을 비롯하여 경제학적 분석틀과 원리를 통하여 동시대 문화예술 생태계와 현상을 이해하고 전망하는 전문지식과 분석능력을 배양한다.

■문화정책연구 (Studies of Cultural Policies )
문화정책의 연구 분야와 접근방법은 물론 문화정책의 역사와 의미 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정책의 요구와 수요 측정, 문화정책의 방향과 과제 등 문화정책 입안과정과 관련된 사항과 쟁점 등을 국내외 사례연구를 통하여 실증적으로 점검하고 연구하는 한편, 문학, 시각예술, 공연예술 등과 관련된 국내의 문화예술정책을 외국의 문화예술 정책 사례와 비교 분석

■문화예술법과 제도분석세미나 (Art Laws and Institutional Analysis)
문화예술진흥법을 중심으로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공연법, 문화산업진흥기본법, 연계 법령 및 제도분석 등 문화예술진흥과 관련된 법률 체계와 제도 수립의 최근 동향을 국내외 사례연구를 통하여 학습하고 연구한다.

■지역학연구 (Regional Studies)
충남·대전 지역의 역사, 사회, 정치, 경제, 문화, 예술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하고 총체적으로 파악하여 충청·대전 지역의 지역성과 지역문화의 독자성을 체계적이고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지역연구의 새로운 방향성과 접근방법론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연구, 탐구한다.

■문화산업론연구 (21st Century Culture Industry)
대중가요를 비롯하여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컴퓨터게임 등 문화산업이 작동하는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문화산업과 관련된 다양한 지표들을 조사하는 동시에 그 조사방법을 학습한다.

■현대문화와 지역문화론 (Studies of Modern Culture and Local Culture)
현대문화의 다양한 특징과 트렌드 분석을 통하여 지역문화 발전방안을 모색하고 토착적인 지역의 토착문화와 현대문화와의 접점을 심층적으로 연구, 탐구하여 지역문화의 독자성과 토착성을 동시대적 관점에서 발전시키고 재창조하는 방안과 실용적인 능력을 습득하고 배양한다.

■문화예술자원과 콘텐츠개발연구 (Contents Development from Culture and Art Resources)
학제 간 연구와 통합적 접근을 통하여 유·무형의 문화예술자원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문화콘텐츠 개발방안을 학습한다. 특히 충청·대전 지방의 유·무형 문화예술자원 개발과 활용 방안에 중점을 두어 지역의 문화자원을 새로이 발굴하고 콘텐츠화 하는 방안을 심화 연구

■국제문화예술교류론 (Global Issues in Culture and Art)
문화예술의 국제교류 구조와 현황, 그리고 단체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각국의 문화예술교류정책을 비교, 연구하여 국내 문화예술교류의 현황과 정책적 과제를 다각적으로 연구, 점검한다. 한다. 동시에 국내외 지방자치제의 문화예술교류정책의 현재와 문제점을 이해하고 파악하여 실질적인 지역 문화예술의 국제교류 활성화방안을 설정해 보고 모색한다.

■다문화커뮤니케이션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국경을 넘는 다문화 교류의 역사와 현황을 비롯하여 다문화 사회의 진행단계와 발전단계를 둘러싼 다양한 담론들과 국내외 정책들에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사회와 교육과 관련된 주요 쟁점과 이슈, 다문화 공생사회의 구축을 위한 발전방향 등에 대하여 심층 연구한다.

■공공성과 문화연구 (Communality in Public Domain and Cultural Research)
현대문화를 공공성의 개념에 근거하여 비평적으로 점검하여 공공성과 현대문화의 관계와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 연구함으로써 공유재로서의 지역사회와 지역문화에 대한 접근방법과 연구방법을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예술문화경영워크숍 (Arts & Culture Management Workshop)
정책 입안자와 경영 전문가를 비롯하여 전시 및 공연 기획자, 제작자와 작가, 실무자 등 문화예술계에서 현재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다양한 분야의 인사들을 초청하여 문화예술 현장에서 벌어지고 사건과 현상을 비롯하여 흐름과 변화, 시사적인 이슈와 쟁점 등을 릴레이 형식의 강연과 포럼 방식으로 진행한다.

■프로젝트연습 1 / 2 (Practices in Project Development 1 / 2)
지도교수의 지도 아래, 문화경영전공과 예술문화전공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특정주제의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수행하여 현장경험과 실무능력을 함양한다.

■논문 (Dissertation)
개별적으로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자신의 논문 주제를 정하고 이를 진행시킨다.









  [문화경영전공]
■문화예술기관연구 (Research on Culture and Art Institutions)
국내외 문화예술기관과 단체의 법적 형태와 특성, 그리고 활동분야에 대한 조사,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인 운영과 전략적 활동 방안을 연구하는 한편, 문화예술기관 경영에 있어서 운영 역량과 더불어 공공성과 기업성, 영리성과 비영리성 추구에 대하여 심층 분석한다.

■문화예술마케팅전략연구 (Marketing Strategies in Culture and Arts)
문화예술경영전략 개발을 위해 문화예술경영의 역사와 흐름을 이해하며, 문화예술경영의 학문적 근거를 학습한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경영의 역사적 전개와 쟁점, 예술현상의 특수성을 기반으로 한 연구방법론 연구, 문화예술경영 전문인의 자질과 리더십, 브랜드 및 특성화 전략 연구, 마케팅 및 관객개발 연구, 회계와 재원조성, 조직운영 등의 다양한 연구 단위와 함께 21세기 문화예술경영이 지향하는 전략구축 방법을 통합적 방법론과 사례연구를 통해 습득한다.

■문화예술창업론연구 (Research Project for Start-up in Culture and Arts)
문화예술 활동을 통한 창업방법에 대한 심층적인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하여 창업 아이템과 사업 개발을 위한 창의력 배양과 행동역량 강화 등에 필요한 실질적인 지식과 창업 매개자로서의 역할을 위한 능력개발방법론을 연구한다.

■문화예술복지론연구 (Cultural and Social Welfare)
문화예술 인력의 복지현황과 쟁점, 정책적 개선과제 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다양한 국내외 사례연구를 통해 비교, 분석 연구하는 동시에 이와 더불어 문화소외계층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학문적 근거연구를 통한 문화예술복지 증진방안에 대하여 심층적이고 다각적으로 연구한다.

■문화소비자행동분석연구 (Business Analysis in Art)
소비자학을 기반으로 문화소비자의 행동을 이해하고 이들을 설득시키는 전략을 비롯하여 소비자의사결정과정, 소비자의 기억, 신념, 태도, 판단 등에 대한 이론과 학문적 근거연구, 사례연구 등을 통하여 학습하고 연구한다.

■기업문화마케팅전략론 (Cultural Marketing Strategies in Corporation)
최근 기업에서 시도하는 문화를 통한 마케팅의 다양한 접근과 실제를 익히며, 기업문화마케팅의 다양한 측면에서의 효과를 이해함으로써 기업 영역에서의 문화예술경영의 실질적인 접목을 시도한다.

■조직경영행동론연구 (Studies on Management Techniques)
문화자원의 다양한 자료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하여 자료의 수집, 분류, 등록, 보존, 관리 등에 대한 기초적인 관리 요소와 과학적 관리시스템을 통한 자료 보관과 활용 방안에 대해 실질적인 학습을 한다. 그리고 최근의 아카이빙의 기능과 역할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디지털 아카이브의 국내외 개발 사례를 살펴보고 문화예술자원의 디지털화 과정에서 필요한 기술적 특성을 이해하고 학습하는 동시에 문화자원의 미래지향적인 경영방안을 심화 연구한다.

■지역재생과 지역문화개발연구 (Regional Regeneration from Cultural Perspectives)
지역문화예술자원을 개발, 발전시킨 국내외 사례연구를 비교, 분석 연구함으로써 지역재생을 위한 지역문화자원의 발굴, 수집, 재수집하는 방안을 이론적 차원뿐만 아니라 현장답사와 경험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학습하고 실무능력을 습득한다.

■전통문화산업론 (Theories on Traditional Culture Industry)
미학, 미술사, 인류학, 고고학,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의 통합적 이론과 분석틀을 통하여 한국과 아시아의 전통문화에 대하여 연구하는 동시에 문화산업적으로 발전, 진흥방법과 미래지향적 가치를 탐구한다. 아시아 각국의 전통문화의 문화산업적 사례들을 집중 분석 연구함으로써 한국의 전통문화와 지역문화의 지속발전 가능성을 전통문화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문화산업적 탐구를 도모한다.

■도시계획과 문화정책 (Urban Planning and Cultural Policies)
도시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각종 사회·문화적 현상과 지역의 성장과 발전, 지역경제 및 주택, 교통, 환경 등과 관련된 도시행정 및 정책체계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이에 수반되는 문화정책에 대한 이론적 연구 및 발전적인 정책 대안을 심층 연구한다.

■창조도시와 문화경영 (Creative Urban Culture)
다양한 도시학적 개념과 문화예술경영학적 분석틀을 바탕으로 창조도시에 대한 이해를 학습하는 동시에 실무적인 도시문화와 관련된 쟁점과 이슈들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지향적인 도시계획 구축 방안과 지속적인 발전가능성에 대해 심층 연구한다.

■미술관박물관경영론 (Theory of Museum Management)
박물관ㆍ미술관 형성을 중심으로 박물관 경영의 이론적 발전과 핵심적인 개념을 경영학적 이론과 사례연구를 통하여 학습하는 한편, 시대적 변화에 관람객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과 관람객 개발, 시장조사, 마케팅 기획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과 21세기 박물관의 사회적 기능의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경영방식의 도출 방안을 다각적으로 연구한다.

■미술시장연구 (Studies on Art Market)
미술시장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을 이해하고, 이에 따라 미술시장의 역사와 흐름, 세계적 동향 등을 학습하여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실무 능력을 배양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아울러 미술시장의 구조 및 역사에서부터 실제 미술시장의 제반 상태와 문제점, 가격 책정과 유통구조의 합리성, 작가 관리 및 프로모션, 한국 미술시장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개선 과제 등을 사례연구를 통하여 비교, 분석한다.

■공연예술마케팅론 (Theories of Performing Art Marketing)
공연예술단체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다각도로 접근함으로써 공연예술마케팅의 원리와 구조를 이해하고 연구한다. 동시에 공연예술마케팅의 기본 방향 및 배경 지식, 마케팅 전략, 커뮤니케이션, 광고 및 판촉활동, 홍보 등의 기법을 다각적으로 훈련하고, 다양한 형태의 공연장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실무 프로세스와 전문 인력의 역할과 기능을 학습하여 공연장 경영의 실제적 이해와 실무 능력을 습득한다.

■총체예술콘텐츠개발연구 (Studies on Contents Development in the Arts)
시각예술과 공연예술, 영상예술, 신체예술뿐만 아니라 만화, 애니메이션, 뮤지컬 등의 대중문화가 하나로 결합한 총체예술에 대한 학문적 근거와 이론을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총체예술작품 분석과 경향 분석을 학습하여 총체예술을 가반으로 한 문화예술 콘텐츠를 개발하는 방식을 익혀 동시대 문화예술 현장에서 요구하는 총체예술의 기획력과 운영능력을 체계적으로 습득하고 배양한다.

■상품미학과 문화상품개발론 (Aesthetics of Cultural Products)
상품 형식과 문화산업, 창조산업 등을 통하여 생산, 소비, 유통하는 창의적인 문화콘텐츠와 디자인 상품 등을 상품 미학적 이론과 근거를 기반으로 연구하며 실제 사례조사와 분석을 통한 문화상품과 문화콘텐츠 시장의 생태계와 구조 이해와 시장 변화에 신속하게 적응하는 자가 능력을 도모한다. 아울러 이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비평 방법을 학습하고 습득하여 창의적인 문화콘텐츠 개발능력을 배양한다.

■문화예술인재개발관리론 (Studies on Human Resources in Culture and Art)
문화예술계의 새로운 전문 인적 자원을 발굴하고 육성, 관리하기 위한 인적 경영과 확보 전략방안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동시에 차별화된 인적 관리와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방법 등이 유기적으로 연계된 이론적 근거와 사례연구를 통하여 학습하고 습득한다.

■문화재개발과 관리연구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ultural Assets)
유·무형의 문화재의 가치와 효율적인 활용 및 보존을 위해 관련 법규 체계와 현황, 그리고 과학적인 보존·관리 방법과 정보 공유 등 문화재의 체계적인 개발과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다각적으로 연구하고 아이와 관련된 시사적인 이슈와 쟁점들을 국내외 사례연구를 통해 조사, 비교 연구한다.

■지적재산권경영론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과 문화예술자원 관리 등 지적재산권과 관련된 법률적 쟁점들과 실제사례들을 조사 연구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경영능력과 대응능력 및 문제 해결방안 등을 체계적으로 습득한다.

■재원조성론연구 (Studies on Fundraising)
국내 문화단체에 대한 지원 정책과 현황을 파악하고 후원자와 지원대상자 간의 관계 등을 조사, 연구함으로써 문화예술단체 및 기관에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지원과 환경 구축 방안 및 재원조성을 위한 다양한 전략과 활동 등을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하여 다각도로 연구한다.

■재무회계연구 (Financial Accounting)
문화예술단체와 기관의 경영활동과 운영과 관련된 재무의사결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응용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기업재무에 관한 시사적인 이슈와 쟁점들을 연구하고 이를 문화예술단체의 경영에 응용, 적용하는 전문지식과 능력을 배양하고 재무회계처리방안을 습득한다.

■사회조사방법론연구 (Social Research and Data Analysis)
문화예술계의 생태적 구조와 변화에 대한 시기적절한 이해와 더불어 사회현상과의 적절한 관계 분석을 위해 사회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과학적 지식을 산출해 내는 사회조사방법의 이론적 배경뿐만 아니라 원리와 구체적인 기법, 다양한 조사방법 등을 학습하고 습득하여 문화예술계의 현상 파악에 응용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사회통계분석연구 (Social Statistics Analysis)
사회정보의 수집·분석·활용을 목적으로 하는 수리통계학의 계량적 연구를 도입, 문화예술계의 단체나 기관 등에서 필요로 하는 자료와 빅데이터 등 각종 통계자료 작성과 분석방법에 대한 실질적인 이론적 이해를 학습하나. 뿐만 아니라 실제자료의 분석을 통한 적용 방법 및 기법 등을 습득하여 실무능력을 심화한다.

■사례조사연구세미나 1/2 (Case Investigation Research)
문화예술경영과 관련된 가상의 단체 혹은 사업 모델을 설정하여 이와 관련된 실제 사례연구를 조사, 분석하는 한편, 이를 기반으로 하는 문화예술경영 프로그램을 시뮬레이션으로 실제 기획, 운영하여 실전 능력을 함양한다.

■인턴십 1 / 2 (Internship 1/ 2)
대전·충남권역의 문화예술단체와 유관시설에 파견되어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실무자를 통하여 문화예술경영에 필요한 실질적인 현장경험과 실무능력과 습득하고 배양한다.







  [예술문화전공]
■근·현대미학 특수론 연구 (Modern and Contemporary Aesthetics)
서양 근·현대 미학의 흐름을 주요 개념과 학설을 근·현대미학의 주요 문헌에 근거하여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연구함으로써 서양 근·현대미학의 커다란 갈래와 흐름, 그리고 상호 영향 관계와 역사 등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조망하는 능력을 습득하고 배양한다.

■아시아문화와 미학 연구 (Asian Culture and Aesthetics)
동아시아라는 한계를 벗어나 아시아 전역에 걸친 아시아 문화의 특수성과 보편성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아시아의 미술, 음악, 연극, 건축, 영화 등의 역사와 특징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그 미학적 근거와 원리를 심층적으로 파악한다. 이를 통해 아시아 문화와 미학적 사상의 보편성과 특수성, 그리고 서양 미학과의 차이와 공통점에 대하여 비교, 분석한다.

■미술사방법론연구 (Methodologies in Art History)
미술사에 대한 학문적 연구의 주요 경향과 방법론을 개관하여 동·서양 미술사 연구의 발전과정과 현황에 대한 종합적이고도 체계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근·현대미술사연구 (Modern and Contemporary Art)
19세기 말 이후 등장한 서양 근·현대미술의 주요 흐름과 다양한 경향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비교 분석함으로써 서양 근·현대미술의 영향 속에서 성장해 온 아시아 근·현대 미술의 역사와 흐름을 이해하고 조망하는 동시에 한국 근·현대 미술사 연구의 기초지식을 심화 연구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학습하고 습득한다.

■아시아문화와 근·현대미술론 (Theories of Modern and Contemporary Asian Culture and Art)
아시아 지역의 근·현대 미술의 흐름과 특징에 대해 조사, 연구함으로써, 서양의 근·현대 미술의 영향 속에서 성장, 발전해 온 아시아 근·현대 미술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심층적으로 비교

■한국근·현대미술세미나 (Seminars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t)
한국 근·현대 미술의 흐름과 유파의 발전 과정과 시대적 배경, 미학적 원리를 이해한다. 동시에 문학, 사진, 영화, 삽화 등 다른 장르와의 관계들을 폭넓게 조사, 분석, 연구하여 한국 근·현대 미술사 방법론을 심층적으로 모색하고, 서양 근·현대 미술사는 물론 일본 근·현대 미술사와의 관계를 통하여 새로운 연구 분야를 발굴하고 연구, 개발한다.

■지역미술과 작가개발론 (Artist Training from Local Resources)
한국 근·현대 미술사의 주류에서 배제되어 온 지역 작가를 발굴하여 체계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주류 미술사와 또 다른 시점의 지역 미술사와 지역미술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이해하고 학습하는 동시에 지역문화예술자원으로서 발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개발한다.

■현대미술비평연구 (Contemporary Art Criticism)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동시대 미술의 전개양상과 시각적 메커니즘을 다양한 비평적 원리와 방법론을 적용, 심층 분석한다. 아울러 문화론적 담론과 관점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이해와 체계적인 학습을 통하여 근·현대미술과 동시대미술에 대한 자가 분석과 비평 능력을 스스로 배양하는 한편 습득한다.

■박물관·미술관학 세미나 (Seminars in Museum Studies)
최근에 설립된 국내외의 박물관·미술관 등의 사례연구와 현장답사를 통하여 기존 박물관·미술관의 차이점 등을 비교 분석하고 토의함으로써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박물관·미술관의 역할과 기능, 그리고 새로운 가능성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현장에서 요구되고 활용될 실질적인 이론적인 지식과 비평 능력은 물론 실무 능력을 함께 학습하고 습득하여 배양한다.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개발연구 (Research on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
문화예술교육사로서의 교수역량의 기초가 되는 교육학의 전반적인 이론체계를 문화예술교육에 적용 가능성을 연구하고 국내외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다양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문화예술교육방법론을 개발, 설계한다. 더불어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등을 이해하는 동시에 타 장르 또는 실용과목 등과의 통합방법과 프로그램은 물론 지역 특성에 맞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연구함으로써 실무 능력을 배양한다.

■아동미술교육론세미나 (Seminars in Children’s art Education)
아동청소년의 신체 발달과 함께 사회적, 심리적, 행동적인 변화의 과정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인교육으로서의 아동청소년 미술교육방법론과 이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연구한다.

■미디어아트세미나 (Seminars in Media Art)
미디어아트의 역사를 비롯하여 미디어아트와 관련된 비평이론과 이론가들의 다양한 논점과 미래예언적인 주장들을 체계적으로 분석, 이해하는 한편, 현재 국내외에서 주목받고 있는 미디어 아티스트들의 주요 작품과 경향에 대한 심층 조사와 연구를 통하여 미디어아트의 주요 쟁점과 실험의 의미, 그리고 새로운 가치와 가능성 등에 대하여 조망하고 비평적으로 탐구한다.

■미디어커뮤니케이션론연구 (Theories of Communication Media)
현대사회의 가장 주요한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주목받고 있는 영상미디어의 다양한 존재방식과 특성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통하여 영상미디어의 내용과 형식을 분석, 연구함은 물론 현대사회에서 차지하는 영상미디어의 미학적 중요성과 사회적 기능과 역할, 그리고 새로운 문화적 가치와 가능성에 비평적으로 접근하고 해석, 점검한다.

■영화사세미나 (Seminars in Film History)
문화예술과 산업의 각 분야에서 지속적인 성장과 주목을 받고 있는 영화와 영상예술의 역사적 흐름과 사조들을 다각적인 시각과 학문적 관점을 통하여 이해하여 예술적 장르로서의 영화와 영상예술의 미래지향적 가치와 의미를 탐구하고 학습한다. 뿐만 아니라 세계영화사 연구와 더불어 한국 영화사와 아시아 영화사를 특화 연구함은 물론 미술을 포함 대중문화의 발달과정과 관계를 심층 연구한다.

■현대미술과 패션미디어비평 (Criticisms in Contemporary Art and Fashion)
미술사와 미학적 관점에서 의상과 패션을 이해하고 연구한다. TV, 영화, 광고, 잡지는 물론 연극, 뮤지컬 등 다양한 대중매체와 대중문화를 통하여 생산, 소비, 유통되는 패션문화예술의 생태계와 구조를 미술사적 관점과 미학적 논리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각종 미디어에 게재되고 있는 패션 기사와 관련 글들을 해석하는 비평능력과 접근방법론 등을 습득하고 학습한다.

■무대예술론연구 (Theories of Performing Art)
국내외 공공미술의 역사와 쟁점, 성공사례 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국내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공공미술의 현황과 실태조사, 현장답사를 통하여 공공미술의 실천과 역할이 현재, 의미하는 바는 무엇이며 향후 무엇을 지향해 나가야 할지를 비평적으로 점검하여 지역사회와 문화발전에 어떠한 방식의 공공미술이 새롭게 도입되어야 할지를 체계적으로 탐구하고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신체예술론연구 (Body as Art Media)
퍼포먼스, 해프닝 등 인간의 신체를 이용하고 개인과 집단적인 움직임을 작품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여기며 전개되는 신체예술의 역사와 흐름을 개관하고 이에 대한 주요 이론과 작품들을 미학적, 미술사적 이론적 준거와 문화론적인 분석틀을 활용, 심층 분석, 연구한다.

■의복미술론연구 (Studies on Art Costume)
퍼포먼스와 해프닝, 연극, 영화, 오페라, 뮤지컬, 대중문화 등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에서 제작 및 활용되고 있는 의상과 의복, 그리고 장신구 등의 역사를 미술사적인 이해와 접근방법을 학습하는 동시에 특정 주제를 설정하여 의상과 의복 미술에 시각문화론과 미학적 준거 틀을 적용, 심화 연구한다.

■커뮤니티아트특수세미나 (Seminars in Special Topics of Community Art)
공동체를 기반으로 전개되는 커뮤니티아트의 역사의 흐름을 이해하고 주요 학문적 근거와 커뮤니티아트의 실제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지역사회와 공동체를 위해 지향해 나가야 할 커뮤니티아트의 방향성을 비롯하여 다른 사회참여 미술, 예술들과의 차별성과 유사점들에 대해 심층 토론하고 연구한다.

■전시심층분석특수세미나 (Exhibition Analysis)
미술사에서 주요한 전시사례로 언급되는 국내외 전시에 대한 심층 이해와 연구와 더불어 시각 문화예술 현장에서 개최되는 전시에 대한 조사, 연구, 분석을 실시하여 전시 기획자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과 능력 향상에 필요한 전문지식을 학습하고 배양한다.

■작품심층분석특수세미나 (Special Topics of Material Analysis in Artworks)
작품을 통해 미술사의 주요 유파들의 특징과 경향을 심층 연구하고 작품의 경향, 형식, 내용 등에 대한 작품 이해와 더불어 재료학적인 차원에서의 작품분석을 실시하여 작품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전문 지식을 습득하고 함양한다.

■작가심층분석특수연구 (Researches on Art and Artists)
미술사적인 맥락에서 다뤄지는 주요 작가에 대한 심층 연구와 더불어 작가 발굴의 측면에서 그간, 국내외 미술계에서 주목받지 못 했던 근·현대 작가와 동시대 작가에 대한 조사,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전시 기획과 아카이빙 구축 방안 등을 다각적으로 모색한다.

■인턴십 1 / 2 (Internship 1/ 2)
대전·충남권역의 미술관, 갤러리, 아트센터 등 시각예술과 미술을 전문으로 하는 기관과 단체에서 인턴수업을 실시하여 실질적인 실무능력을 습득하고 배양한다.
로 완성하게 한다.

정보관리부서 : 시스템운영팀

최종 수정일 : 2021-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