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 수정 요청

[사행원] 한국전통복식학과 학과소개 업데이트 요청

작성일 2022-02-17 16:38

작성자 채종욱

조회수 2503

수정

1. 제목 : [사행원] 한국전통복식학과 학과소개 업데이트 요청
2. 연락처 / 성명:  8098 / 채종욱
3. 요청사항  1
    1) URL : http://top.hannam.ac.kr/sub3/menu_12.html
    2) 내용:  학과명 및 전공소개 수정

**패션산업학과 **Department of Fashion Industry (패션산업학석사)

패션산업학과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경쟁력 있게 대응할 수 있는 섬유패션산업의 분야별 패션 전문 인재양성을 목표로 한다. 미래 패션산업환경은 지속가능한 패션을 중심으로 독창적인 창의력을 요구하고 있어 본 학과에서는 한국전통복식, 패션디자인, 의복구성론, 패션마케팅 등의 세부전공을 심화 학습하고 각 분야를 융합하여 지식융합형 글로벌 비즈니스 인재를 교육한다. 실무중심형 한복전문교육, 패션산업 특화교육, 산학협동연구 등을 통해 창의적 사고방식과 글로벌 경쟁력을 함양하고 다전공융합으로 산업화를 구축하는 과정을 통해 인성교육, 신지식인 양성, 고용창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요청사항  2
    1) URL : http://top.hannam.ac.kr/sub3/menu_12_2.html
    2) 내용: 교수진 소개 수정

성명 직위 학위 연구실
김정신 전임교원 - 미술학석사(이화여자대학교)
- 패션디자인
☎042-629-7629
김천희 전임교원 - 이학박사(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 의복재료학, 화학
☎042-629-7524
김윤희 전임교원 - 이학박사(서울대학교)
- 의류학
☎042-629-7967
이은영 전임교원 - 의류학박사(이화여자대학교)
- 의복구성/개발전공
☎042-629-7518
김정아 전임교원 - 문학박사(이화여자대학교)
- 한국복식학
☎042-629-7050
정병온 전임교원 - 이학석사(연세대학교)
- 패션산업정보
☎042-629-8335
김혜란 강사 - 의류학석사(이화여자대학교)
- 한국복식학
-
김미정 강사 - 미술학석사(단국대학교)
- 한국복식학
-

    요청사항  3
    1) URL : http://top.hannam.ac.kr/sub3/menu_12_3.html
    2) 내용: 교과과정  수정


영역별 학수번호 교과목명 시간 학점 비고
한국전통복식 전공 81871 규방공예세미나 2 2
81866 동양복식사연구 2 2
81878 박물관연구 2 2
81881 복식유물보존법 2 2
81880 생활한복디자인연구 I 2 2
81892 생활한복디자인연구 II 2 2
81872 전통규방공예Ⅰ 2 2
81873 전통규방공예Ⅱ 2 2
81886 전통규방공예Ⅲ 2 2
81887 전통규방공예Ⅳ 2 2
81890 전통매듭연구 2 2
81874 전통문양디자인 2 2
81875 전통색채와염색 2 2
81891 전통쓰개구성법연구 2 2
81869 전통우리옷만들기Ⅰ 2 2
81870 전통우리옷만들기Ⅱ 2 2
81885 전통우리옷만들기Ⅲ 2 2
81889 전통자수연구 2 2
81888 전통직물과고직물연구 2 2
81879 전통한복과 리사이클디자인 연구 2 2
81877 출토복식연구 2 2
81867 한,중,일복식문화비교연구 2 2
81882 한국무대의상연구 2 2
81865 한국복식사특론 2 2
81876 한국전통색채와문양 2 2
81868 한국전통예복연구Ⅰ 2 2  
81884 한국전통예복연구Ⅱ 2 2
81883 한국전통장신구연구 2 2
28과목 56 56
영역별 학수번호 교과목명 시간 학점 비고
패션
디자인 전공
81910 디지털패션디자인연구 2 2
81900 색채와문화 연구 2 2
81902 색채와이미지 2 2
81909 지속가능패션디자인연구 2 2
81898 패션과미디어 2 2
81899 패션과영화 2 2
81897 패션과예술 2 2
81896 패션과조형 2 2
81903 패션디자인방법론 2 2
81908 패션디자인비교분석연구 2 2
81915 패션디자인컬렉션연구 2 2
81907 패션디자인특론 2 2
81904 패션디자인프로세스 2 2
81894 패션미학특론 2 2
81917 패션방송스타일링 2 2
81895 패션산업과ICT융합 2 2
81916 패션산학프로젝트 2 2
81901 패션색채계획 2 2
81905 패션스튜디오 I 2 2
81922 패션스튜디오 II 2 2
81911 패션악세서리디자인연구 2 2
81919 패션이미지메이킹 2 2
81920 패션이미지분석론 2 2
81918 패션전시기획 2 2
81914 패션정보기획특론 2 2
81913 패션코디네이션연구 2 2
81921 패션트렌드세미나 2 2
81893 현대디자인론 2 2
81912 현대문화상품개발 2 2
81906 현대패션디자이너 2 2
30과목 60 60
의복구성 전공 81923 3D 어패럴 I 2 2
81924 3D 어패럴 II 2 2
81925 3차원체형연구 2 2
81926 기능성의류설계 2 2
81927 남성복개발 2 2
81928 니트웨어개발 2 2
81929 스마트웨어설계 2 2
81930 스포츠웨어설계 2 2
81931 실버웨어설계 2 2
81932 아동복개발 2 2
81933 언더웨어개발 2 2
81934 여성복개발 I 2 2
81935 여성복개발 II 2 2
81936 의복구성론 2 2
81937 의복체형학 2 2
81938 체형의류설계 2 2
81939 테크니컬디자인 I 2 2
81940 테크니컬디자인 II 2 2
81941 패턴제작연구 I 2 2
81942 패턴제작연구 II 2 2
20과목 40 40
영역별 학수번호 교과목명 시간 학점 비고
패션
마케팅 전공
81943 리테일링 2 2  
81944 패션 비지니스의 이해 2 2  
81945 패션 빅데이터 분석 2 2  
81946 패션경영 사례연구 2 2  
81947 패션디자이너와 브랜드 연구 2 2  
81948 패션디자인리서치 방법론 2 2  
81949 패션마케팅 프로젝트 2 2  
81950 패션마켓 리서치 2 2  
81951 패션브랜드&디자인 리서치 2 2  
81952 패션브랜드연구 및 기획 2 2  
81953 패션산업 특론 2 2  
81954 패션산업필드트립 2 2  
81955 패션상품광고론 2 2  
81956 패션용어와 저널리즘 2 2  
81957 패션정보 분석 2 2  
81958 현대 소비사회의 이해 2 2  
81959 현대패션 연구 2 2  
17과목 34 34
전체 총95과목 190 190

    요청사항  4
    1) URL : http://top.hannam.ac.kr/sub3/menu_12_4.html
    2) 내용: 교과목 소개  수정

http://top.hannam.ac.kr/sub3/menu_15_4.html 문화예술경영학과의 양식처럼 부탁드립니다!

[한국전통복식 전공]
■ 규방공예세미나(Traditional sewing craft works seminar)
전통 규방공예에 관한 선행 연구및 작품을 분석하고 미적 특성을 연구한다.

■ 동양복식사연구(Study of Asian Costume)
동양권 복식의 흐름에 관한 제문제를 선정하여 연구한다.

■ 박물관연구 (Museum Studies)
복식박물관의 운영관리와 콜렉션을 위한 유물 구입, 기록, 보존정리, 전시기획, 도록 제작 등 박물관에서 필요한 제반 과정을 단계적으로 연구하고 실습한다.

■ 복식유물보존법(Conservation of Historic Textile and Apparel)
복식전문 큐레이터에게 필요한 복식유물의 보존과 정리, 보관, 그리고 보수와 복원하는 방법을 문헌연구와 실습을 통해 배운다.

■ 생활한복디자인연구 I(Study on the Design of Saenghwal hanbok(生活韓服) I)
전통한복의 패턴과 문양, 색채 등 구성요소를 응용하여 생활한복을 디자인하고 제작한다.

■ 생활한복디자인연구 II(Study on the Design of Saenghwal hanbok(生活韓服) II)
전통한복의 패턴과 문양, 색채 등 구성요소를 응용하여 생활한복을 디자인하고 제작한다.

■ 전통규방공예Ⅰ(Korean traditional sewing craft worksⅠ)
골무, 바늘꽂이, 주머니 등 다양한 종류의 조선시대 규방 생활소품을 중심으로 제작한다.

■ 전통규방공예Ⅱ(Korean traditional sewing craft works Ⅱ)
전통 바느질기법을 이용하여 명주 조각보, 모시조각보, 여의주문보, 혼례용보 등 보자기류를 제작한다.

■ 전통규방공예Ⅲ(Korean traditional sewing craft works Ⅲ)
전통 누빔기법을 이용하여 누비보자기, 누비주머니, 색실누비 쌈지, 색실누비 바늘집 등 누비소품류를 제작한다.

■ 전통규방공예Ⅳ(Korean traditional sewing craft works Ⅳ)
전통 자수기법을 이용하여 자수보자기, 자수주머니, 자수 바늘집 등 자수소품류를 제작한다.

■ 전통매듭연구(Study on korean traditional knot)
전통매듭의 다양한 기법을 이해하고 이를 응용한 생활소품을 제작한다.

■ 전통문양디자인(Study on the Design of Korean Traditional Motifs)
한국 전통 문양의 의미, 형태 그리고 색채 등을 연구하고 현대복식에 응용할 수 있도롣 디자인한다.

■ 전통색채와염색(Traditional Colors and Dyeing)
전통염색법과 가공법에 관한 선행연구와 고문헌을 연구하고 분석하며 전통 염색법을 실습해본다.

■ 전통쓰개구성법연구(Korean traditional headdress & sewing craft works)
조바위, 풍차, 볼끼, 휘항, 호건, 복건, 토시, 아얌, 굴레 등 전통쓰개와 복식 소품류(타래버선, 솜버선, 돌띠, 토시, 배자 등)를 제작한다.

■ 전통우리옷만들기Ⅰ(Study on the Design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Ⅰ)
남아의 저고리, 풍차바지, 조끼, 배자, 오방장 두루마기의 구조와 특징을 파악하고 제작한다.

■ 전통우리옷만들기Ⅱ(Study on the Design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Ⅱ )
여자 어린이의 색동저고리, 치마, 당의, 색동두루마기 구조와 특징을 파악하고 제작한다.

■ 전통우리옷만들기Ⅲ(Study on the Design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Ⅲ)
성인여자의 속속곳, 단속곳, 치마, 삼회장저고리 등의 구조와 특징을 파악하고 제작한다.

■ 전통자수연구(Study on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전통자수의 다양한 기법을 이해하고 전통자수를 이용한 소품을 제작한다.

■ 전통직물과고직물연구(Traditional Textiles and Ancient Textiles Study)
우리의 전통직물의 발생과 발전을 공부하고 견직물, 면직물을 포함한 고직물의 역사와 전통적인 제직기술에 관해 연구한다.

■ 전통한복과리사이클디자인 연구(Study on Recycle fashion design development using korean traditional costume)
전통한복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를 연구하고 이를 재활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소품 및 패션을 디자인한다.

■ 출토복식연구(Study on korean traditional Excavated costume)
조선시대 출토복식의 기본 개념에 대해 연구하고 출보튜물을 고증하여 제작한다.

■ 한,중,일복식문화비교연구(Comparative Study on Culture of Costume in Japan, China, and Korea)
한,중,일 복식문화의 교류와 복식문화의 미적 특성을 비교 연구한다.

■ 한국무대의상연구(Korean Stage Costume)
한국복식이 무대의상, 공연의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본 지식을 연구한다.

■ 한국복식사특론(Special Topics in the History of Korean Costume)
동아시아라는 지역적 특징과 인접한 다른 나라들과의 관계 속에서 우리 고유 복식이 형성되어 가는 과정을 학습하며, 시대의 흐름에 따른 복식의 변천과정을 알아본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전통복식을 이해하고 보존 및 발전시킬 수 있는 기본지식을 습득한다.

■ 한국전통색채와문양(Traditional Colors and Motifs of Korea)
한국의 전통색채 와 염색법, 복식에 나타난 전통문양의 상징성과 조형적 특징을 배우고, 그 활용 방안 에 대해 연구한다.

■ 한국전통예복연구Ⅰ(Study on korean traditional formal dress Ⅰ)
원삼, 활옷, 당의 등 여자 예복에 관해 연구하고 제작한다.

■ 한국전통예복연구Ⅱ(Study on korean traditional formal dress Ⅱ)
단령, 도포, 심의, 학창의 등 남자 예복의 구조와 특징을 파악하고 제작한다.

■ 한국전통장신구연구(Study on korean traditional accessory)
한국전통복식에 필요한 다양한 장신구에 관한 이론을 공부하고 이를 응용한 작품을 제작한다.









  [패션디자인전공]
■ 디지털패션디자인연구(Studies in Digital Fashion Design)
디지털화하고 있는 패션산업의 전과정을 살펴보고, 이 가운데 패션디자인을 디지털 기기를 통해 진행한다.

■ 색채와문화 연구(Studies in Color and Culture)
색채의 문화적 의미를 연구하고, 색채를 통해 복식 문화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 색채와이미지(Fashion and Image)
색채, 이미지에 대한 문헌연구와 패션디자인에서의 색채, 이미지의 활용예를 분석한다. 이를 통합하여 패션디자인에서 색채와 이미지를 창조적으로 적용해 본다.

■ 지속가능패션디자인연구(Studies in Sustainable Fashion Design)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개념을 문헌적으로 고찰하고, 실제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탐구한다.

■ 패션과미디어(Fashion and Media)
현대 미디어의 특성들에 대해 알아보고, 패션에서 활용되는 미디어의 변천 연구를 통해 패션 미디어의 특징을 고찰한다. 또한 대표적인 패션 미디어 사례를 분석해 봄으로써
패션 미디어 활용에 관한 비평적 시각을 배양한다.

■ 패션과영화 (Fashion and Cinema)
영화에 나타난 패션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시대적 미와 패션의 관계에 대해 이해한다. 또한 패션의 한 분야로서 영화의상에 대해서 총체적 시각을 갖는다.

■ 패션과예술(Fashion and Art)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예술과 복식의 관계에 대해 알아본다. 각 시대의 예술양식과 복식양식, 문화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예술과 복식이 시대문화적 특징을 공유함을 이해한다.

■ 패션과조형(Fashion and Formation)
디자인 요소인 형태를 중심으로 패션을 분석한다. 패션 형태를 문화적, 미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패션 조형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한다.

■ 패션디자인방법론(Theory of Fashion Design Methods)
2패션디자인과정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폭넓게 진행하고, 디자인과 제작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창조적인 패션디자인을 위해서 아이디어 발상과 전개 능력, 이를 실현하는 능력을 훈련한다.

■ 패션디자인비교분석연구(Studies in Comparative Analysis for Fashion Design)
디자인의 문화적 의미, 디자인 원리와 요소 등을 아울러 패션디자인을 비교, 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패션디자인에 대한 비평 능력을 키운다.

■ 패션디자인컬렉션연구(Studies in Fashion Design Collection)
패션디자인에서 컬렉션의 의미에 대해 실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패션디자인컬렉션을 구성한다.

■ 패션디자인특론(Special Topics in Fashion Design)
20세기 사회문화 변화, 20세기 패션의 역사 등 다양한 주제를 통해 패션디자인에 대해 분석하고 논의한다.

■ 패션디자인프로세스(Fashion Design Process)
패션디자인의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조형, 색채, 재료에 대한 고찰과 패션디자인과의 상관성을 연구한다. 이를 패션디자인에 적용하여, 디자인 아이디어와 발상, 전개, 디자인 과정을 진행한다.

■ 패션미학특론(Special Topics in Fashion Aesthetics)
다양한 철학적 관점에서 패션의 의미를 추론함으로써, 패션의 본질을 탐구한다.

■ 패션방송스타일링(Fashion Styling for Broadcasting)
다양한 매체에 나타나는 패션 스타일링을 분석하고 새로운 스타일링을 제안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 패션산업과ICT융합(Fashion Industry and ICT)
4차산업혁명,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미래패션산업의 변화에 대해 학문적 접근을 통해 심도깊게 논의한다.

■ 패션산학프로젝트(Industry-Academy Project in Fashion)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패션 프로젝트를 실시한다.

■ 패션색채계획(Fashion Color Planning)
색채에 대해 이론적으로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패션 디자인에 적용, 분석한다. 더 나아가 패션제품의 색채 계획 능력을 개발한다.

■ 패션스튜디오 I(Fashion Studio I)
패션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실제 디자인에 적용한다.

■ 패션스튜디오 II(Fashion Studio II)
패션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실제 디자인에 적용한다.

■ 패션악세서리디자인연구(Studies in Fashion Accessory Design)
패션액세서리에 관한 역사적 연구, 품목별 연구를 통해 다각도로 탐색한다.

■ 패션이미지메이킹(Fashion Image Making)
패션이미지의 의미, 패션이미지의 분석과 메이킹을 진행한다.

■ 패션이미지분석론(Fashion Image Anaylsis )
패션이미지를 분석하는 데 배경이 될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이미지 분석을 시행한다.

■ 패션전시기획 (Fashion Exhibition Planning)
패션 전시의 실제 사례를 연구하고, 패션 전시의 특징을 이해함으로서 패션 전시를 기획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 패션정보기획특론(Special Topics in Fashion Information Planning)
패션정보산업의 세계적인 현황과 변화추이에 대해 알아보고, 패션정보기획을 진행한다.

■ 패션코디네이션연구(Studies in Fashion Coordination)
창조의 영역으로서 패션코디네이션에 대해 연구하고 고찰한다.

■ 패션트렌드세미나(Seminat in Fashion Trend)
패션트렌드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논의와 토의를 통해 공유하고 학습한다.

■ 현대디자인론(Theory of Modern Design)
현대디자인의 역사에 대해 학습하고, 시대를 대표하는 디자인제품에 대해 분석한다.

■ 현대문화상품개발(Development of Contemporary Cultural Product)
문화산업의 일부로서 패션에 대해 문헌연구, 사례연구를 실시하고, 패션상품을 문화상품으로 개발해본다.

■ 현대패션디자이너(Modern Fashion Designers)
패션디자이너 등장 이후의 패션의 역사와 패션디자이너의 역할에 대해 고찰한다.









  [의복구성 전공]
■ 3D 어패럴 I (3D Apparel I)
2D CAD로 패턴 제작과 3D 가상착의 프로그램(3D virtual try-on system)을 학습하여 시뮬레이션하는 능력을 기른다.

■ 3D 어패럴 II (3D Apparel II)
다양한 의복패턴 설계와 보다 발전된 3D 시스템의 활용 능력의 응용으로 다양한 작품을 형상화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 3차원체형연구 (3 Dimensional Study of Human Body)
3차원 전신스캐너를 이용한 인체스캔 작업 및 의복설계를 위한 인체치수 추출방법을 공부하고 2차원자료와 3 차원 스캔자료를 비교하여 의복패턴으로의 전개를 연구한다.

■ 기능성의류설계 (Functional Clothing Design)
작업장의 환경적 요인과 작업조건이 열악한 상황에서 착용하는 방호복의 착의 현황을 조사하고 쾌적성, 방호성, 운동성, 기능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소재, 디자인, 구성, 봉제 측면에서 연구한다.

■ 남성복개발 (Development of Men's Clothing)
남성복 전반에 관한 연구로 남성 인체치수계측 및 분석, 기본패턴 개발, 남성복 디자인 패턴 개발 등을 연구한다.

■ 니트웨어개발 (Development of Knitted Garment)
니트웨어의 조직별 특성, 제 작과정 등을 연구하여 다양한 조직의 니트웨어를 디자인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 스마트웨어설계 (Smart Wear Design)
스마트웨어의 정의와 적용범위를 문헌, 연구, 인터넷정보, 시장에서 알아보고 향후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기능성과 보호성이 향상된 스마트웨어의 방향에 대하여 예측한다.

■ 스포츠웨어설계 (Development of Children's Clothing)
다양한 스포츠 웨어의 설계와 평가를 공부한다. 운동기능성과 쾌적성에 초점을 맞추어 패턴 개발을 연구하고 미래 스포츠웨어 산업이 지향해야 할 스포츠웨어 디자인 트렌드에 대해 예측한다.

■ 실버웨어설계 (Apparel Design for the Elderly)
실버세대 체형 변화와 신체치수를 측정하는 원리와 기술, 실버웨어 의류치수체계 평가, 기능성에 역점을 둔 실버웨어의 패턴 개발을 연구한다.

■ 아동복개발 (Development of Children's Clothing)
남녀아동의 인체치수 계측, 기본패턴 개발, 디자인 패턴 개발 등 아동복 개발에 필요한 내용을 연구한다.

■ 언더웨어개발 (Development of Under Wear)
언더웨어를 위한 기본패턴제작, 언더웨어 소재인 신축성 소재들의 물리적 특성 연구, 신축성을 바탕으로 reduction, 언 더웨어 봉제방법 및 부자재선정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 여성복개발 I (Development of Women's Clothing I)
여성복 전반에 관한 연구로 여성 인체치수계측 및 분석, 기본패턴 개발, 여성복 디자인 패턴 개발 등을 연구한다.

■ 여성복개발 II (Development of Women's Clothing II)
컬렉션계획, 샘플제작, 패턴 개발, 소재계획, 원가산정, 생산계획 등 여성복 개발과 관련된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 의복구성론 (Clothing Manufacturing)
치수계측 및 분석, 패턴개발, 소재 및 부 자재 선정, 샘플제작, 재단, 봉제 등 의류생산과 관련된 내용을 연구한다.

■ 의복체형학 (Anthropometrics and Apparel)
인체 측정방법과 체형 분석에 필요한 이론을 학습하고, 인체계측을 통하여 집단별로 체형특성을 파악하며, 인종, 성별, 연 령, 시대별 차이를 연구한다.

■ 체형의류설계 (Apparel Design for Specially Featured Body Type)
특이체형이나 장애자 의복을 위한 설계공정을 배우고, 기능성에 초점을 맞춘 설계 및 평가에 대하여 연구한다.

■ 테크니컬디자인 I (Technical Design I)
Technical package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용되는 현장 영어, 제품치수 등에 대해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보다 발전된 전문 인력으로서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 테크니컬디자인 II (Technical Design II)
Technical package에 대한 해석에서 나아가 피팅 및 패턴 수정 방법에 대해 배우고 익혀 글로벌 의류산업체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를 높인다.

■ 패턴제작연구 I (Comparative Study of Pattern Development I)
다양한 디자인과 소재를 활용하는 패턴을 개발하는 실습을 통하여 보다 여러 가지 디자인 의복의 패턴 개발이 가능하도록 한다.

■ 패턴제작연구 II (Comparative Study of Pattern Development II)
실험적 디자인, 특수소재, 특수종제공정 등이 포함된 난이도가 높은 디자인의 패턴을 개발하는 실습을 통하여 보다 창의적인 의복의 패턴 개발이 가능하도록 한다.











  [패션마케팅 전공]
■ 리테일링 (Retailing)
패션제품의 유통경로를 이해하고 최근의 국내 · 외의 유통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리테일링 시스템 및 운영관리에 대해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 패션 비지니스의 이해 (Understanding Fashion Business)
글로벌 패션산업의 실질적인 이해를 통해 다양한 실무 업무를 실행한다. 국내외 이슈를 통해 산업발전 모델을 연구한다.

■ 패션 빅데이터 분석 (Fashion Big-Data Analysis)
패션비지니스 전략을 분석, 빅데이터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역할에 대해 알아본다.

■ 패션경영 사례연구 (Fashion Management Case Study)
ESG측면에서 변화를 반영한 패션 글로벌 기업의 실천 사례를 분석하여 패션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사회문제의 대응, 친환경 컬렉션, 사회적 실천 마케팅의 기업 경쟁요인을 분석한다.

■ 패션디자이너와 브랜드 연구 (Study & Fashion Designer & Brand)
패션디자이너들과 패션전문 브랜드들의 시장 선도 제품세계 고찰을 통해 디자인을 조형적으로 분석, 연구하며, 조형과 실용의 두 가지 양상을 조화시킨 총체적인 연구 분석능력을 기른다.

■ 패션디자인리서치 방법론 (Studies in Fashion Design Research)
국내외 디자인트랜드 조사를 통해 트랜드에 맞는 디자인 개발을 위한 연구한다.

■ 패션마케팅 프로젝트 (Fashion Marketing Project)
패션 마케팅의 기술과 전략을 활용하여 패션제품 생산, 유통업체 및 기타 패션 관련 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프로젝트를 수립한다.

■ 패션마켓 리서치 (Fashion Market Research)
패션마켓을 이해하기 위한 패션산업과 패션마켓의 기본 이론과 핵심개념, 분석등을 연구한다. 다양한 브랜드 사례를 통한 패션 마켓리서치와 복종별 마켓분석을 통해 패션산업에서의 실무 프로세스를 이해한다.

■ 패션브랜드&디자인 리서치 (Fashion Brand & Design Research)
패션에 관련된 다양한 브랜드와 시즌 디자인 등을 분석, 연구하여 패션 아이디어의 원천이 되고 있는 특정주제를 선정, 연구와 분석 방법을 통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분석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패션브랜드연구 및 기획 (Research & Planning on Fashion Brands)
패션의 경향을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수집과 분석을 포함하여 목표시장에 맞는 디자인 컨셉과 물량을 결정하여 소비자들에게 제시하는 상품 기획 과정을 다룬다.

■ 패션산업 특론 (Special Topics in Fashion Industry)
패션산업의 최신 정보를 통해 패션산업의 경쟁력 우위전략 모색과 문제해결 능력을 배양한다.

■ 패션산업필드트립 (Fashion Industry Field Trip)
패션산업 전반의 테마와 이슈, 현상들을 주제로 분석하고 디자인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가치에 대한 주제에 관하여 자료를 조사, 연구 분석한다.

■ 패션상품광고론 (Fashion Product AD Theory)
광고의 소비자 심리와 광고기법의 기초 이론을 습득하고 패션상품광고의 성공사례에 대해 분석한다.

■ 패션용어와 저널리즘 (Fashion Terms & Journalism)
산업으로서의 패션이 탄생하기까지 전 과정에 끊임없는 영향력을 행사하는 매스미디어의 모습을 통해 국내 패션 매체의 변화 및 발전 과정을 학습한다.

■ 패션정보 분석 (Fashion Information Analysis)
컬렉션 정보, 소비자정보, 시장과 소비자 정보등을 분석하여 이미지맵 구성과 디자인기획을 통해 패션정보 기획의 역량을 키운다.

■ 현대 소비사회의 이해 (Modern Consumer Society)
현대 소비사회에 대한 이론과 주장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현대 사회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소비현상 및 소비트렌드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목표로 한다.

■ 현대패션 연구 (Modern Fashion Research)
역동적인 현대 사회의 맥락 속에서 다양한 패션 행동 즉, 패션과 정체성, 페미니즘, 국내외 하위문화 경향 패션 등을 연구한다.

정보관리부서 : 시스템운영팀

최종 수정일 : 2021-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