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 수정 요청

[사행원]청소년지도학과 학과소개 업데이트 요청

작성일 2021-10-12 16:44

작성자 채종욱

조회수 2431

수정

1. 제목 : [사행원]청소년지도학과 학과소개 업데이트 요청
2. 연락처 / 성명:  8098 / 채종욱
3. 요청사항 1
    1) URL :http://top.hannam.ac.kr/sub3/menu_10.html
    2) 내용:  학과소개 업데이트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 필요한 제반이론, 상담, 정책 그리고 실전에서의 지식을 연구를 통해 증진시키고, 통합적 학문으로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대전·충청지역의 유일한 청소년 분야의 학문영역이다.
  - 학과의 특·장점
  󰋯졸업과 더불어 국가자격증인 ‘청소년지도사 2급’ 시험 응시 자격 부여 및 필기시험 면제, 국가자격증인 ‘청소년상담사 2급’ 시험 응시 자격 부여
  󰋯소기의 연수 과정을 통해 한국지속가능문화교육개발원의 ‘레크리에이션 1급 지도자’ 자격 부여
  󰋯청소년 차 프로그램 등록 시 할인 혜택 제공
  󰋯청소년수련원, 청소년 문화의 집, 청소년 활동기관 등의 취업 기회 제공
  󰋯주 2회 야간 수업 운영
  󰋯학위논문이 부담스러운 경우, 졸업보고서로 대체 가능
  󰋯졸업 후, 박사과정 진학 가능
  󰋯장학금 : 협약기관을 통한 등록금 50% 감면 혜택 제공 가능

  요청사항 2
    1) URL : http://top.hannam.ac.kr/sub3/menu_10_2.html
    2) 내용:  교수진 소개 업데이트

성명 직위 학위 연구실
김재철 전임교원 - 교육학박사(서울대학교)
- 전공분야:심리측정 및 평가
☎042-629-7429
최지영 전임교원 - 교육심리학박사
((미)University of Minnesota)
- 전공분야:교육심리
☎042-629-7494
전미경 겸임교원 - 문화산업경영학박사(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조현경 겸임교원 - 교육학박사(한남대학교)
- 전공분야: 심리평가, 청소년지도 및 상담
류미경 겸임교원 - 상담학박사(한남대학교)
- 전공분야: 진로 및 학업상담







    요청사항  3
    1) URL : http://top.hannam.ac.kr/sub3/menu_10_3.html
    2) 내용:  교과과정 수정

영역별 교과목명 시수 학점 비고
전공 청소년지도방법론
청소년문제와보호
청소년프로그램개발과평가
청소년육성제도론
청소년활동
청소년문화
청소년복지
청소년심리및상담
레크레이션이론과실제
청소년지도자론
청소년기관행정및운영
청소년정책
청소년리더쉽
상담연구방법론의기초
심리측정평가의활용
집단상담
진로상담
이상심리
가족상담
학업상담
2 2
20과목 40 40





    요청사항 4
    1) URL : http://top.hannam.ac.kr/sub3/menu_10_4.html
    2) 내용: 교과목 수정

 ■청소년지도방법론(Youth Leadership Methodologies)
청소년지도 기법을 학문적으로 연구 검토하면서 처소년지도 커뮤니케이션, 청소년 집단역동론, 청소년 조직행동론, 청소년 리더쉽론 등의 지도기법을 탐구하게 된다.
■청소년문제와보호(Youth Problem Studies)
현대 사회에서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다양한 문제와 고민을 심층적으로 분석․이해하고 다학문적 접근을 통한 심층적 해결책을 탐구한다.
  ■청소년프로그램개발과평가(The Studies on Development & Evaluation of Program)
청소년지도의 프로그램에 관한 원리와 운영의 실제를 탐구하게 되며 프로그램의 사례를 수집하고 분석하게 하여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하고 운영의 새로운 기법을 터득하게 한다.
  ■청소년육성제도론(Youth Upbringing System)
국내의 청소년 관련 법규의 내용과 행정체계를 종합적으로 이해시키고, 외국의 법규 및 행정과 비교․검토한다.
  ■청소년 활동(Youth Discipline Activities)
청소년지도자들이 반드시 경험해야 할 청소년 활동들의 개념, 목적, 중요성, 내용 등을 고찰하고 주요 프로그램의 종류와 그 특성을 파악한다.
  ■청소년문화(Youth Culture)
독특하게 존재하는 Youth Culture의 의미와 성격을 파악하고, Youth Culture의 유형별 현황과 예방대책 등을 연구하게 한다.
  ■청소년복지(Welfare In Youth)
Youth Welfare의 개념, 목표, 기능 등을 탐구하게 하고 Youth Welfare의 실제 사례를 조사하게 하여 새로운 Youth Welfare,의 방법을 미국과 유럽의 여러 나라 현황과 비교하며 연구하게 한다.
  ■청소년심리및상담(Youth Psychology Studies)
청소년 발달에 있어서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의 이론들을 연구하고, 특히 청소년기의 심리적 특성을 충분하게 이해한다.
  ■레크레이션의이론과실제(Recreation)
청소년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위한 원리, 방법, 다양한 프로그램과 지도법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 지도 현장에서 실습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청소년지도자론(Adolescent Guidance)
청소년관련시설, 단체, 기관 등의 현장에서 필요한 청소년지도자로서의 자질과 지도력을 습득한다.
  ■청소년기관행정및운영(Administration and operation of youth institutions)
청소년 기관행정 및 운영의 개념과 관련이론을 고착하고, 현재 운영되고 있는 우리나라 청소년 기관 행정 및 운영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사례분석을 통해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청소년 지도자로써 갖추어야 할 청소년 기관 행정 및 운영의 실무를 익힌다.
  ■청소년정책(Adolescent Policy)
청소년 정책의 주체외 객체, 기능, 재원, 전달, 체계 등을 중심으로 국내외 청소년 정책의 현황과 내용을 밝히고 한국 청소년 정책의 과제와 방향을 탐색한다.
  ■청소년리더십(Adolescent Leadership)
일상에서 접할 수 없는 교육 프로그램의 진행으로 팀의 유대력을 강화하며 소속감, 책임감을 배양하며 의사소통훈련, 장애체험 등으로 타인의 입장을 생각하는 전인적인 사고를 유발하여 다양한 자기표현 능력을 향상시킨다.
  ■상담연구방법론의기초(Basics of Counseling Research Methodology_
이 강좌의 목적은 상담현상과 관련하여 제기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거나, 새로운 지식을 획득하고 기존의 연구성과들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과학적 탐구방법과 절차를 익히며, 이를 실제적인 문제 상황에 적용할 때 제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있다. 수업 내용은 연구문제와 연구계획서의 작성, 상담 연구에서의 윤리문제, 문헌조사와 선행연구의 평가, 연구를 위한 측정도구, 연구설계와 통계적 분석, 조사연구, 실험연구, 관찰연구 등의 연구방법, 수집자료의 처리와 보고서의 작성 등으로 구성된다.
  ■심리측정평가의활용(Psychological Testing)
행동측정의 이론과 교육 및 임상장면에서 심리검사의 원리, 종류, 구성, 평가기준, 선정, 사용과정과 기술, 심리검사의 결과 및 해석에 필요한 방법을 익히고, 각종 심리검사도구의 제작과 사용에 관한 제한점 등 다양한 심리학적 측정 및 평가에 대해 연구한다.
  ■집단상담(Group Counseling)
집단상담의 본질, 집단역동의 이해, 집단상담의 이론적 접근, 집단상담의 실제 및 응용과 사례연구를 통한 집단상담가로서의 자질을 체득하게 한다.
  ■진로상담(Career Counseling)
교육현장 및 사회에서 필요한 진로상담에 대한 평가, 절차, 단계, 진로발달이론 및 지로의 선택과 진로결정에 필요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심리(Abnormal Psychology)
이상행동의 기준, 정의, 모델, 접근방법, 원인 등의 접근을 통한 각 이상심리의 유형별, 장애진단별 치료방법 및 예방에 필요한 입상적인 지식을 익히고 전문적인 훈련을 통하여 건강과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있다.
  ■가족상담(Family Counseling)
가족상담은 개인이나 가족의 문제해결을 위해 가족 구성원들과의 역동과 생활체계를 이해하고, 가족의 기능, 역할, 관계 상의 문제에 대해 개입하는 조직적 상담 과정이다. 이 강좌에서는 가족을 치료적 매개로 하는 다양한 가족상담 이론을 배우고 기법을 익혀 가족 기능의 회복과 강화, 가족의 역기능적 문제해결을 위한 상담 능력 함양을 목표로 한다.
  ■학업상담 (Academic Counseling)
학업 상담은 개인이 무엇인가를 배우고 익히는 과정에서 겪는 문제를 보다 체계적이고 통합적으로 해결하여 유능한 학습자가 되도록 돕는 과정이다. 이 강좌에서는 학업성취도와 학습자 개인 변인, 환경 변인, 학습 문제의 진단과 평가, 학습전략 등에 대한 지식과 기법을 이해하여, 실제 학습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정보관리부서 : 시스템운영팀

최종 수정일 : 2021-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