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 수정 요청

[사행원] 사회복지학과 학과소개 업데이트 요청

작성일 2021-10-03 21:46

작성자 채종욱

조회수 2569

수정

1. 제목 : [사행원] 사회복지학과 학과소개 업데이트 요청
2. 연락처 / 성명:  8098 / 채종욱
3. 요청사항  1
    1) URL :  http://top.hannam.ac.kr/sub3/menu_4_2.html
    2) 내용:  교수진 소개 업데이트
   

성명 직위 학위 연구실
김성한 전임교원 - 사회복지학박사(서울대학교)
- 전공분야: 사회복지실천
☎ 042-629-7851
박미은 전임교원 - 사회복지학박사(이화여자대학교)
- 전공분야: 사회복지행정
☎ 042-629-8342
이영미 전임교원 - 사회복지학박사(연세대학교)
- 전공분야: 장애인복지
☎ 042-629-8377
정윤경 전임교원 - 사회복지학박사(미국 Univ. of California, Los Angels)
- 전공분야: 노인복지
☎ 042-629-7880
유창민 전임교원 - 사회복지학박사(서울대학교)
- 전공분야: 청소년복지
☎ 042-629-8145







    요청사항  2
    1) URL : http://top.hannam.ac.kr/sub3/menu_4_3.html
    2) 내용:  교과과정 수정

영역별 교과목명 시간 학점 비고
전공 사회복지개론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제론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현장실습
아동·청소년복지론
노인복지론
장애인복지론
가족복지론
정신건강사회복지론
사회문제론
사회보장론
가족상담과치료
사회복지역사
사회복지윤리와철학
프로그램개발과평가
사례관리론
학교사회복지론
상담이론과실제
사회복지세미나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25과목 75 75





    요청사항  3
    1) URL : http://top.hannam.ac.kr/sub3/menu_4_4.html
    2) 내용: 교과목 수정
 
 ■사회복지개론(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사회복지의 학문적 연구와 실천에 관한 지식과 가치를 개괄적으로 소개하고 이해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의 개념과 동기, 사회복지의 실천적⦁제도적 가치와 이념, 사회복지의 역사적 발달을 이해한 후, 사회복지의 실천적⦁제도적 방법, 사회복지의 다양한 실천분야,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 등에 대해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쟁점과 전망에 대해 알아본다.
■인간행동과사회환경(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사회복지 실천의 기초지식이라고 할 수 있는 인간행동 및 인간발달, 사회환경 체제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형성해 주고자 한다. 사회복지분야의 임상적, 정책적 실천은 인간행동과 사회체계 및 이들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에 기반을 두고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실천이나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분야론 등의 사회복지의 세부 분야를 심도 있게 공부하기에 앞서, 인간행동과 발달 및 사회체계의 다양한 요소와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과목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에 대한 이해 및 세부 전공과목들을 이어주는 가교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겠다.
  ■사회복지실천론(Social Work Practice)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관점을 정립하고, 실천의 토대가 되는 사회와 현장에 대한 이해, 사회복지전문직과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 대하여 다양한 관점을 기반으로 통합적 접근을 통해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한다.
   ■사회복지실천기술론(Skills for Social Work Practice )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러한 전문성을 뒷받침하는 주요한 개입모델을 구체적으로 익힌다. 또한 사회복지실천의 대상이 되는 개인과 집단, 가족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개입기술을 습득하며, 특히 복합적 욕구를 가진 클라이언트와 변화 동기가 적은 클라이언트에 대한 개입방법을 익힌다. 아울러 다양한 집단운영의 방법과 가족을 도울 수 있는 실천 기술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사회복지행정론(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사회복지서비스와 프로그램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전달하기 위한 사회복지조직도 계속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 과목은 사회복지서비스를 전달하는 사회복지조직을 효과적으로 관리, 운영하기 위한 지식과 기술을 살펴보고, 사회복지조직을 실제로 설립, 운영, 적용하는 모의연습을 통해 사회복지행정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사회복지정책론(Social Welfare Policy)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기본 이해를 함양하는 데 그 목표가 있다. 사회복지정책 발달의 이론적 근거로서 사회정의론과 국가개입이론, 복지국가의 발달과정을 살펴보고, 사회복지정책의 구성요소인 대상, 급여, 전달체계, 재정 4가지 차원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한다.
  ■사회복지조사론(Research Methods for Social Welfare)
사회복지 목표달성과 관련된 사회적 노력의 과학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과학적 조사의 분명한 개념을 정립하도록 한다. 양적․질적 조사방법을 활용하여 수혜자들의 욕구를 파악하며 실행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효율성을 평가하여 사회복지서비스 및 사회보장제도의 질적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문제해결 능력을 배양시킨다.
  ■사회복지법제론(Social Welfare Law)
사회복지법의 이념과 체계, 그리고 우리나라의 주요한 사회복지 관계 법령들의 역사, 즉, 그 구조적 한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사회복지법과 관련된 제반 쟁점들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사회문제 해결과 사회복지 증진을 위해 사회복지 법안개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술을 학습시킨다.
 ■지역사회복지론(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사회복지서비스를 전달하기 위한 기본 방법론으로서 공동체를 개발하고 조직하여 활용하는 기술을 학습한다. 먼저 공동체개발과 공동체조직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지역사회문제에 대한 공통의 문제의식을 갖는 사람들끼리 연합체를 조직한 후 공동의 목적달성을 추구하는 방법을 학습시키며 민주적으로 최대한의 참여를 도모하는 과정에서 모두의 인간적 성장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궁극적으로 사회행정의 공평성을 증진하고 사회복지의 목표달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회교육과 입법안개정 운동을 전개하는 방법도 학습한다.
■사회복지현장실습(Social Welfare Practicum)
사회복지실천 이론을 현장에 적용하고 평가하여 실천기술을 연마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것으로
슈퍼바이저의 지도하에 실제적으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하며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의 개별적, 집단적 개입에 참여함으로써 사회복지서비스 전달과정을 경험하게 한다. 또한 사회복지서비스 전달과 관련된 다양한 지역사회조직들을 방문하고 경험하여 미래의 사회복지사들에게 거시적 시각과 미시적 시각의 균형을 이루며 사회복지서비스 generalist로서의 소양을 개발하도록 돕는다.
  ■아동·청소년복지론(Social Welfare for Children and Adolescent)
아동 및 청소년 복지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실천방법을 학습하여 아동·청소년분야에서 활동할 사회복지사의 능력을 배양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아동청소년복지와 관련된 기본 개념과 가치, 실천방법과 기술, 그리고 정책 등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노인복지론(Social Welfare for the Aged)
고령사회의 특성과 노인복지 과제를 이해하며, 노인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욕구를 파악하며, 노인의 복지를 위한 정책적 대응과 실천적 개입방법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1부에서는 노화에 따른 개인의 신체·심리·사회적 변화와 노년기의 과업을 이해한다. 이를 바탕으로 2부에서는 노인들이 겪는 사회 문제에 대응하고 노년기 삶의 질을 보장하기 위하여 사회적으로 지원하는 노인복지정책 및 제도를 파악한다. 3부에서는 노인의 특성과 노인들이 직면하는 인권문제를 이해하며, 노인 개인 및 집단에 개입하는 사회복지 실천방법을 익히고, 실천과정에서 유념해야 하는 실천 가치와 인권에 대해 숙지한다.
  ■장애인복지론(Social Welfare for the Disabled)
장애와 장애인에 대한 민감성을 높이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장애인복지실천이론 및 기술을 습득하여 장애인복지 분야의 사회복지사로서 전문적 실천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장애개념과 장애유형 및 장애인현황, 장애인복지의 개념과 이념 및 가치, 장애에 관란 이론적 접근, 생애주기적 접근, 장애유형별 서비스, 장애인복지 관련법과 정책, 행정 및 전달체계, 서비스, 장애인복지실천방법과 기술, 한국 장애인복지의 실천과제 등을 다룬다.
  ■가족복지론(Social Welfare with Families)
현대사회에서 여러 가지 사회적 여건에 따라 변화하는 가족을 이해하기 위해 가족구조, 가족관계, 가족의 기능, 가족의 생활주기, 가족문제 등에 관해 학습하고, 가족복지 정책과 서비스 현황 등에 관해 균형 있게 학습한다. 또한 가족복지서비스의 대상, 가족의 문제에 대한 사정과 치료적 접근을 학습하며, 우리 사회의 다양한 가족유형을 이해하고 가족복지 증진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개입 방안을 살펴본다.
  ■정신건강사회복지론(Social Welfare in Mental Health)
사회복지사로서 정신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도전과 문제들을 다룰 수 있는 기본 관점과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고, 동시에 정신건강사회복지사로서의 진로를 탐색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정신건강복지와 관련된 개념과 관점, 역사와 현안, 법과 제도, 이론과 실천방법 등을 학습하고 이를 토대로 다양한 정신건강사회복지에 필요한 실천역량을 습득하도록 한다. 특히 정신장애인의 권리와 복지의 쟁점을 이해하고 관련 서비스와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숙지하여 정신건강사회복지에 대한 전문성을 함양한다.
  ■사회문제론(Social Problems)
사회문제를 파악하고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거나 완화하여 사회구성원들의 삶의 질을 높이 사회복지적 개입에 대해 연구한다. 사회문제를 근원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시각과 분석력을 키우고 그 해결책을 모색함으로써 어떻게 사회복지대책을 세울 것인가를 탐구한다. 사회문제는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한 측면에서 발생한다. 학생들은 사회문제를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과 시각을 습득해야 할 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이슈와 쟁점들을 포착하는 민감성과 대응력을 기를 필요가 있다. 사회문제를 분석하고 설명하는 이론적인 관점을 소개한 후, 한국사회의 주요 사회문제 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해봄으로써 사회복지정책과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이론을 습득하고 실천방법을 모색한다.
  ■사회보장론(Social Security)
사회보험제도, 인간성 개발을 위한 교육보장서비스제도, 자아실현을 위한 직업보장서비스제도, 건강유지를 위한 보건의료보장서비스제도, 정신적 필요충족을 위한 주택보장서비스제도, 사회보장의 목표달성을 확실시하고자 다양한 사회보장 서비스분야에서 보충적 기능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서비스보장제도, 사회적 일탈자들의 치료와 재활을 위한 교정보장서비스제도 등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가족상담과치료(Family Counseling and Family Therapy)
현대사회의 가족문제를 파악하고, 가족문제 해결을 도울 수 있는 실천기술로 가족상담 및 치료의 주요 모델 및 실제과정을 학습한다. 가족상담 및 치료의 필요성, 가족상담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해 이해한다.
  ■사회복지역사(Social Welfare History)
사회복지라는 현상은 초역사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변화 양상에 의해 규정되는 역사적인 산물이며, 동시에 그 사회 현실의 반영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과목은 사회과학으로서 사회복지가 가지는 역사성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복지가 어떠한 사회경제적 배경과 이념과의 관계 속에 변화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사회복지윤리와철학(Social Work Ethics and Philosophy)
불평등 감소와 공평성 증진이라는 사회복지 대윤리의 성립배경을 이해하며, 사회복지실천에 영향을 미쳐온 철학을 학습함으로써 사회복지 윤리 및 윤리강령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사회복지사들에게 윤리적 갈등상황에 직면하였을 때 합리적 처리방법을 터득하기 위해 윤리적 결정모델을 도출할 수 있는 패러다임을 학습시키며 궁극적으로 전문가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 가치관을 내재화하도록 돕는다.
  ■프로그램개발과평가(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for Social Welfare)
사회복지프로그램은 추상적인 사회복지정책을 구체적인 서비스로 전환시키는 매개물이다. 이 과목은 사회복지사들이 프로그램을 통해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기획 및 평가 등과 관련된 내용을 다룬다. 이를 통해 문제 및 욕구에 대한 민감성 기르기, 사회문제에 대한 개입전략을 수립하는 방법, 사회복지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기술 습득,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이해 및 평가 능력을 기른다.
  ■ 사례관리론(Case Management in Social Welfare)
사회복지실천에서 중요한 방법론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는 사례관리에 대해 집중적으로 학습한다. 사례관리의 개념과 원리, 관점과 이론, 기능과 역할 등 기초적 이해의 수준을 높인다. 아울러 사례관리의 실천과정을 구체적으로 학습한 후 각 단계별 과업 및 기록양식을 실제 사례에 적용함으로 실무적 역량을 키운다.
  ■ 학교사회복지론(School Social Work)
본 과목은 학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교사회복지의 개념 및 목적, 발달과정, 우리나라 학교사회복지의 현황을 탐색을 통해 학교사회복지의 기본적 이해를 바탕으로 실천이론과 모델 및 운영모형,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기능, 직무, 가치와 윤리, 학교사회복지의 개입전략과 과정을 학습한다. 또한 학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이해와 개입을 위해 학교환경, 가족 및 지역사회환경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함으로써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이해를 함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상담이론과실제(Counseling Theories and Practice)
이 과목은 상담에 대한 여러 이론과 접근 기술 및 방법을 학습하고, 이들 이론의 방법에 기초하여 실제 상담에서 제시되는 사례를 학습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기른다. 특히 상담이론들이 실제로 적용되는 사례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심리학적 이론들의 응용가능성을 학습한다.
  ■사회복지세미나(Seminar on Social Welfare)
사회문제나 사회복지와 관련된 최근의 이슈나 관심사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이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정보관리부서 : 시스템운영팀

최종 수정일 : 2021-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