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 수정 요청

[사행원] 아동복지학과 학과소개 업데이트 요청

작성일 2021-10-03 22:23

작성자 채종욱

조회수 2545

수정

1. 제목 : [사행원] 아동복지학과 학과소개 업데이트 요청
2. 연락처 / 성명:  8098 / 채종욱
3.  요청사항  1
    1) URL :  http://top.hannam.ac.kr/sub3/menu_6.html
    2) 내용:  전공소개 업데이트
아동복지 전공자들은 물론 대전ㆍ충청지역의 영·유아 보육 및 아동교육분야와 아동ㆍ청소년 및 가족을 위한 상담과 치료의 다양한 현장에서 일하는 아동복지관련 종사자들에게 현재로서는 극히 제한되어 있는 계속적인 학문 탐구와 전문인으로서의 자기 발전에 필요한 유용하고 체계적인 보수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대학과 현장간의 유기적 협조와 상호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요청사항 2
    1) URL :  http://top.hannam.ac.kr/sub3/menu_6_2.html
    2) 내용:  교수진 소개 업데이트
   

성명 직위 학위 연구실
양명숙 전임교원 - 심리학박사(Heinrich Heine Duesseldorf Univ.)
- 전공분야: 발달심리 및 가족상담
☎042-629-7389
나종혜 전임교원 - Ph.D.(미국 Pennysylvania Sate Univ.)
- 전공분야: 영유아발달 및 보육
☎042-629-7893
김민정 전임교원 - 아동복지학박사(숙명여자대학교)
- 전공분야: 영유아보육 및 아동복지
☎042-629-7390
손승희 전임교원 - 문학박사(연세대학교)
- 전공분야: 영유아보육 및 아동교육
☎042-629-8247
문의정 전임교원 - Ph.D.(미국 University of Maryland)
- 전공분야: 아동 및 가족복지
☎042-629-8492
김수정 전임교원 - Ph.D.(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 전공분야: 영유아보육
☎042-629-7618







    요청사항  3
    1) URL : http://top.hannam.ac.kr/sub3/menu_6_3.html
    2) 내용:  교과과정 수정

영역별 교과목명 시간 학점 비고
전공 가족관계특론
상담이론과실제
가족치료
정신건강
청소년상담
아동발달이론
영유아발달연구
영유아사회정서발달세미나
아동행동연구
발달의평가와측정
아동행동수정
영유아보육세미나
영유아문제행동지도
부모-자녀관계론
아동권리와복지세미나
영유아보육프로그램개발과평가
보육정책및제도분석특론
보육현장에서의아동권리와복지
아동상담
심리검사
아동놀이및지도
보육기관운영관리론
영유아교수방법연구
영유아인지발달세미나
영유아언어교육세미나
보육과정연구
보육교사특론
비교영유아보육론
가족복지론
연구방법론
다문화가족과아동
가족복지연구
가족복지실천세미나
지역사회와가족복지
부모교육론
보육철학및보육사
영유아창의성교육세미나
영유아음률교육세미나
영유아수학교육세미나
영유아미술교육세미나
영유아건강및안전교육세미나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41 과목 82 82







    요청사항  4
    1) URL : http://top.hannam.ac.kr/sub3/menu_6_4.html
    2) 내용: 교과목 수정
 ■가족관계특론(Family Relations)
가족전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가족연구에 대한 다양한 접근법 즉 심리적, 사회적, 역사적, 경제적 접근법을 통하여 가족관계를 분석한다. 이에 가족생활의 전반을 통해 나타날 수 있는 제반 현상을 이론적 배경과 실제의 사례를 통하여 함께 탐색한다. 이와 더불어 가족의 중요성에 대한 재인식과 함께 가족의 긍정적인 면을 강화하고, 부정적인 요소는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피할 수 없는 가족내의 문제나 장애는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극복할 수 있는 대처능력 등에 대하여 다룬다.
■상담이론과실제(Theories & Practices of Counseling))
대표적인 상담이론들인 정신분석적 상담, 인간중심상담, 행동주의상담, 현실요법, 인지치료, 게슈탈트 상담, 교류분석적 상담, 합리적-정서적 치료, 역설적 상담 등을 학습하고 심리치료 기법들의 기본과정과 주요기술들을 개관하여 여러 양상으로 나타나는 아동․청소년 심리적 장애와 적응 문제들을 올바르게 해결, 치료하는 방법과 기술을 익힌다. 또한 상담이나 심리치료 이론의 기초를 일반 아동의 지도에도 응용하여 아동의 문제 행동과 부적응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가족치료(Family Therapy)
가정에서의 가족 관계적 균형이 깨지고, 가족들이 가치관의 혼란과 더불어 긴장 속에서 생활을 하게 됨으로서, 가족상담과 치료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결혼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가족관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결혼의 형성 과정과 실제에 대하여 알아보고, 가족관계에서 야기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상담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더불어 가족치료의 모델에 대하여 알아본다. 상담 기법과 아울러 실제의 임상 사례를 통하여, 가족상담의 과정에 대하여 알아봄으로서 가족치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정신건강(Mental Health)
인간의 정신건강 영역과 관련하여 현대인들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정신 병리적인 측면을 이론적 접근과 실제의 사례를 중심으로 알아본다. 이에 비정상으로 분류되는 각종 심리적, 정신적 장애들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들의 원인과 치료에 관련된 제반 지식들을 알아보아, 정신 병리적인 현상에 대하여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한다.
  ■청소년상담(Adolescence Counseling)
아동에서 청소년으로 발달해 가는 과도기인 청소년기에 대한 발달상의 특징과 이 시기의 적응문제를 살펴보고, 특히 청소년 전환기의 문제에 집중하여 이 시기의 갈등을 대처하기 위한 상담이론, 실제적인 기법과 기술을 습득한다.
  ■아동발달이론(Theories of Child Development)
아동의 발달과 변화에 대한 다양한 입장의 이론들을 개별적으로 심도 있게 고찰함과 아울러 이론간의 철저한 종합적 비교․분석을 통해서 인간의 의식과 무의식, 발달의 원동력, 성격과 개인차, 사고와 그 감정과 행동간의 관계와 각각의 중요성, 단계별 공통성과 발달적 변화, 행동결정과 변화의 공통적 원리와 기제, 행동변화를 위한 바람직한 책략 등의 여러 쟁점들에 대한 상반되는 주장들과 다양한 해답들을 절충하고 종합하여 나름대로 조화를 이룬 통합적인 인간 이해의 틀을 가지도록 노력한다.
■영유아발달연구(Researches in Development during Infancy and Early Childhood)
출생직후 영아기부터 걸음마기를 거쳐 학령전기까지 영유아들의 발달과정을 신체, 언어, 인지, 정서 등의 각 발달영역별로 자세히 알아보고 영유아기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주요 연구들을 고찰해보는 과목이다. 이 수업을 통해 영유아기 아동들의 발달단계와 발달과업을 숙지하여 영유아를 지도하거나 유아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이해하고 개발하기 위한 기초 지식을 습득한다.
  ■영유아사회정서발달세미나(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아동의 사회성 발달 및 정서발달의 기제와 단계별 특징에 관한 이론들과 아울러 이론형성의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영유아기의 사회적 관계형성과 친사회성 발달, 그리고 자기정서 인식 및 조절과 타인의 정서 이해 및 공감 능력 발달 등 사회정서적 적응행동의 발달에 대한 이해를 기르고 부적응과 문제 상황에 올바르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아동행동연구(Studying Children's Behaviors)
아동의 행동과 심리상태 및 발달적 변화를 정확하게 관찰하고 객관적으로 분석하며 올바르게 해석하는 과학적 연구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특히 영유아 이해에 유용한 연구방법인 관찰법의 다양한 유형과 사용기술에 대해 배우고 면접법과 검사지 활용법을 함께 익혀 질적 연구를 위한 다각적인 자료수집 능력을 기른다. 또한 필요할 때는 부모나 교사에 대해서도 면접과 질문지법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발달의평가와측정(Assessment of Child Development) 추가
아동발달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아동의 개인차를 파악하기 위한 평가와 측정의 원리를 이해하고, 다양한 심리검사의 실시 방법을 실습하며 결과의 적용 방법을 습득한다.
  ■아동행동수정(Child Behavior Modification)
정서장애와 행동장애 및 적응상의 문제 등 특수한 요구를 지닌 아동들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지도 기술을 연구하여 도움을 필요로 하는 아동들을 위한 심리치료와 행동교정프로그램들을 실시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특히, 행동수정이론을 기초로 한 아동의 행동문제 교정을 위해 관련 이론을 연구하고, 실제기술을 습득한다.
  ■영유아보육세미나 (Seminar on Early Childhood Care)
영아, 유아, 방과후 보육에 대한 이론적인 근거와 연구들을 중심으로 현재 우리 사회에서 아동보육과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진단해 보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토론하여 본다.
  ■영유아문제행동지도(Understandi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영유아의 문제행동을 다양한 선행 이론에 기초하여 분석하고, 보육현장에서 이를 어떻게 이해하고 다루어야 하는지 토론하여 적용점을 찾는다.
  ■부모-자녀관계론(Semjnar on Parent-Child Relationship)
아동의 발달에 심대한 영향을 주는 부모자녀관계를 중심으로 한 가족 내의 주요 인간관계와 상호작용 특성, 학교와 단체생활 내에서의 아동의 대인관계 특성들을 관찰하고 측정, 평가하는 다양한 방법과 도루에 대해 학습하고, 획득된 자료들의 분석과 해석 방법 및 각 도구의 강점과 한계에 대한 이해를 키워서 적합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도구들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아동권리와 복지세미나 (Seminar on Children’s Rights and Welfare)
아동권리와 복지 관련된 최근 정보와 주제들에 대하여 검토하고 토론하도록 한다.
 ■영유아보육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Development & Evaluation of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현재까지 개발된 성공적인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을 고찰하고 보육과정 요소에 맞추어 기존 보육 프로그램들의 장 /단점, 특성을 분석,,평가하여 본다. 이를 기초로 우리 실정에 맞고 아동의 발달 단계를 고려한 보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 작업을 수행해 본다.
 ■보육정책 및 제도분석 특론 Advanced Study of Analysis in Childcare Policy &System
우리사회의 보육 관련 제도와 실천에 대한 내용을 포괄적, 심층적으로 고찰 하고 분석함으로서 보다 바람직한 보육제도 방안을 모색한다
 ■보육현장에서의 아동 권리와 복지(Children’s Rights and Welfare In childcarecenter)
보육현장, 돌봄 서비스 현장에서 지켜져야할 할 아동의 권리와 복지서비스에 대하여 살펴본다
  ■아동상담(Theories and Practice in Child Counselling)
아동복지 및 보육․지도 현장에서 직면하는 아동의 여러 가지 어려움과 문제행동 및 부적응 현상들을 교정하고 치료하는데 필수적인 기술인 효과적 대화 기술, 올바른 면접과 상담 기술, 그리고 그 이론적 기초를 습득하게 하기 위한 과목이다. 상담자의 역할․자질․의무 및 주요 상담 이론과 기법에 대한 기초 지식을 학습하고 실습과 사례 연구를 통한 훈련을 병행하여 현대 아동의 불안과 스트레스, 갈등과 좌절, 부적응과 문제행동, 자아상실과 자존감 상실 등의 문제를 진단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고 발달적․치료적․예방적 차원에서 문제 해결을 시도할 수 있는 종합적 역량과 자질을 배양한다.
  ■심리검사(Psychological Measurement and Testing)
아동의 심리적․운동적 제 기능과 발달상황에 있어서의 개인차를 파악하고 발달상의 이상이나 장애를 진단하는데 사용되는 여러 가지 심리검사와 척도들을 살펴보면서 그 종류와 형태 및 주요특징과 사용상의 유의점 등을 알아보고 그 실시방법과 절차를 실제로 익힌다. 그리하여 아동 지도와 상담․치료의 현장에서 문제상황에 따라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며 그 결과를 정확하게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아동놀이및지도(Understanding and Guidance of Children's Play)
놀이에 대한 주요 이론들과 놀이의 발달적 변화를 고찰하여 아동놀이의 동기와 목적 및 그 형태와 기능을 이해하고 발달단계별 놀이의 유형과 특징 및 주요매체와 그 기능들을 파악하여 영유아 보육이나 유아교육 또는 방과후 아동지도의 현장에서 아동들의 놀이를 올바르게 보호․장려하고 교육적으로 지도․활용할 수 있는 능력과 안목을 기른다.
  ■보육기관운영관리론(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of Child Educare Facilities & Institutions)
보육교사로서 뿐 아니라 보육관련시설과 기관의 시설장으로서 책임 있고 효율적으로 시설을 운영․관리할 수 있기 위해서 인사관리, 사무관리, 재정관리, 그리고 시설 및 설비관리 등 시설의 운영과 관리에 필요한 전반적인 지식과 방법론적 기술을 습득한다.
  ■영유아교수방법연구(Teaching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교육·학습과정의 제반 원리와 이에 관련된 연구결과를 분석하고, 교수이론을 현장 실습에서 적용해 봄으로서 이론과 실제의 통합을 시도한다.
■영유아인지발달세미나(Seminar on Cognitive Development and Earl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영유아기의 인지발달에 대해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을 살펴보고 영유아기의 인지발달을 지원할 수 있는 성인의 역할, 인지프로그램 등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영유아기 인지발달을 적극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모한다.
  ■영유아언어교육세미나(Seminar on Language in Early Education)
교육 현장에서 언어를 지도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에 대해 다룬다. 언어의 의미, 언어발달, 교육접근법을 다루고 다른 사람의 말을 주의 깊게 듣는 것, 바른 태도로 말하는 것, 양질의 글을 읽고 쓰는 것과 같은 전인적인 유아발달에 적합한 언어 교육 방법과 내용을 고찰하고, 이를 지도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익힌다.
  ■보육과정연구(Seminar on Edu-care curriculum)
유아 및 아동을 보육하는 교사로서 전문직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보육과정에 대한 제반 이론을 학습하고 보육과정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기존의 효과적으로 적용된 보육과정들을 알아보고 창의적인 교사로서 보육 과정을 스스로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보육교사특론(Seminar o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보육교사 양성과 재교육은 보육의 질을 결정한다. 보육 교사들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기초이론과 직무, 이와 관련 변인들을 국내외 연구들을 통해 고찰하고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교사교육 체계 및 교사정책을 비교해 본다.
  ■비교영유아보육론(Cross Cultural Comparison of Child Care)
유아교육관련 세계 여러 나라의 현황과 발전사 및 앞으로의 전망 들을 알아봄으로써 우리 사회에서 유아 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통찰을 갖는다.
  ■가족복지론(Social Welfare Services for Family)
가족에 대한 체계론적 관점에서 가족의 건전한 삶의 질을 보장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가족구성원 개개인의 복지뿐만이 아니라 가족전체의 복지 증진에 필요한 제반지식과 정책 등을 알아보고, 이를 실제 가족의 제 현상에 적용시킬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자 한다. 이에 현대 가족의 이해와 가족복지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가족복지에 접근하는 방법론과 정책 등에 대하여 알아보고 가족복지의 실천 분야별의 특성과 이에 대한 처방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론(Research of Methodology)
사회과학 연구의 기본인 사회과학방법론; 과학적 연구, 경험적 연구방법, 자료수집 방법, 표본 추출 방법, 질문지 작성, 측정 및 척도, 관련 통계분석 등을 다룬다.
  ■다문화가족과아동(Children and Cultural Diversity)
보육과 교육, 복지 현장에서 접할 수 있는 다문화배경을 가진 아동과 가족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다문화 배경을 가진 아동의 가족의 양육방식, 가족의사소통유형, 스트레스원인, 그리고 다문화 배경으로 인한 위기요인과 강점요인에 대해서 알아본다.
■가족복지연구(Research on Family Welfare)
가족과 가족복지 연구를 위한 주요 이론적 접근에 대하여 학습한다. 가족과 가족복지 분야와 관련된 사회학 및 심리학 이론의 본질과 가치에 대하여 배우고 적용과 검증을 위한 비판적 시각과 기술을 익힌다. 실증연구에서의 이론 사용에 대한 평가와 실천과 정책을 위한 함의 제시 방법을 알아본다.
■가족복지실천세미나 (Seminar on Family Welfare Services)
가족복지 서비스 및 자원관리에 대한 정책과 윤리적 이슈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가족복지 프로그램 관리와 실천 및 정책에 대한 분석적 사고와 상호관계 기술 역량 강화를 목표로 가족복지 관련 조직 간 실천 기술과 지역사회와 파트너쉽 관계에 대하여 토론하며 학습한다.
  ■지역사회와가족복지 (Community and Family Studies)
다양하고 복잡한 지역사회의 특성과 그 안에서의 가족복지 실천을 이해하기 위하여 가족학, 사회학, 사회심리 및 발달심리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융복합적 정책 및 실천 서비스를 학습한다. 지역사회 내 가족과 가족의 구성원들이 기능적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자원관리와 실천기술에 대한 역량을 강화한
  ■부모교육론(Theories of Parent Education)
사회가 변하고 가족이 변하고 가치가 변해가면서 개인의 특성, 가족의 기능, 자녀의 의미와 부모의 역할 등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부모교육은 이러한 현실에서 부모와 자녀 모두가 건강하게 자아를 실현하면서 함께 조화로운 삶을 가꾸어 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모의 자기 이해 및 올바른 자녀 이해와 지도방법에 관한 이론적 지식과 실제 기술을 학습하는 과목이다.
  ■보육철학및보육사 (Philosophy and History of Child Care)
현재까지 보육학에서 기초가 되었던 보육 사상가의 철학과 우리 사회에서 영유아 및 아동보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반이 되는 보육 철학을 알아본다. 더불어 현재 보육의 개념이 생기기까지 보육의 변천사를 알아본다. 이를 바탕으로 지금 이 시대의 우리가 생각하는 보육의 개념을 정리하고 앞으로 보육분야의 학문적인 전망과 현장에서 발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본다.
■영유아창의성교육세미나(Seminar on Creativity Eduation within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context)
영유아기 창의성 발달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고, 영유아기 창의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들을 살펴보고 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본다.
■영유아음률교육세미나(Seminar on Music and Movement for Young Children)
교육현장에서 아동음악을 지도하는데 필요한 아동음악교육의 중요성과 아동음악에서 다루어야 할 음악적 구성 내용, 음악발달에 따른 학습 범위를 고찰하고 아동교육과 아동음악의 연관성과 교수 방법 등을 익힌다.
■ 영유아수학교육세미나 (Seminar on M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일상의 수학성 및 놀이성을 탐구하고 영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관한 이론 및 연구를 토대로 영유아수학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이해를 갖춰 놀이중심 영유아수학교육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 과목이다.
  ■ 영유아미술교육세미나 (Seminar on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영유아미술교육의 최근 이론을 탐색하고 다양한 미술 매체 및 표상 방법에 대하여 탐구하여 이를 기초로 영유아미술교육의 다양한 방법을 연구한다. 특히 영유아를 위한 다양한 미술활동이 가지는 창의적 과정과 경험의 중요성을 포괄적으로 연구하는 과목이다.
  ■영유아건강및안전교육세미나 (Seminar on Health and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최근 생활환경의 변화로 인한 영유아의 건강, 영양, 안전에 대한 이슈를 바탕으로 영유아의 삶을 총체적으로 바라보고 영유아건강 및 안전교육에 대한 일상적 실천을 강화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 과목이다.

정보관리부서 : 시스템운영팀

최종 수정일 : 2021-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