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 수정 요청

[사행원] 언론홍보광고학과 학과소개 업데이트 요청

작성일 2021-10-04 17:29

작성자 채종욱

조회수 2479

수정

1. 제목 : [사행원] 언론홍보광고학과 학과소개 업데이트 요청
2. 연락처 / 성명:  8098 / 채종욱
3.  요청사항 1
    1) URL : http://top.hannam.ac.kr/sub3/menu_7_2.html
    2) 내용:  교수진 소개 업데이트

성명 직위 학위 연구실
마정미 전임교원 언론학박사(경희대학교)
전공 분야: 광고홍보학
☎042-629-7652
백강희 전임교원 언론학박사(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전공 분야: 저널리즘
☎042-629-7617
강한나 전임교원 언론학박사(University of Kansas)
전공 분야: 광고홍보학
☎042-629-7619
김찬중 전임교원 언론학박사(University of Arizona)
전공 분야: 저널리즘
☎042-629-7985
유현중 전임교원 문학박사(한양대학교)
전공 분야: 광고홍보학
☎042-629-7960





    요청사항  2
    1) URL : http://top.hannam.ac.kr/sub3/menu_7_3.html
    2) 내용:  교과과정 수정

영역별 교과목명 시간 학점 비고
전공 공통과목 매스컴론
미디어와사회심리학
미디어문화론
정치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연구조사방법론
미디어테크롤로지의이해
커뮤니케이션이론
설득커뮤니케이션
조직커뮤니케이션
대인커뮤니케이션
비판커뮤니케이션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언론 언론사상과언론법
지역언론연구
글로벌커뮤니케이션
뉴스와여론선전
사이버커뮤니케이션
메이킹뉴스
대중예술론
스피치토론커뮤니케이션
이미지언어론
보도편집론
SNS와소셜미디어
언론학세미나
영상커뮤니케이션
미디어경영론
시사정치이슈세미나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광고 광고연구
PR연구
출판사보기획
국제광고론
광고와소비자행동론연구
광고크리에티브연구
마케팅의이해
광고매체관리론
기업광고캠페인연구
이벤트기획론
정치홍보론
쟁점및위기관리론
광고심리학
광고매체와뉴미디어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40 과목 120 120





    요청사항 3
    1) URL : http://top.hannam.ac.kr/sub3/menu_7_4.html
    2) 내용: 교과목 수정
 
[공통과목]
■매스컴론(Mass communication Theories)
대중매체에 대한 기본이론과 개념에 대해 연구한다. 매스컴의 기능과 효과, 조직과 제작시스템, 법과 윤리, 역사와 사상적 배경, 송신자 및 수용자연구 등이 다루어진다.
  ■커뮤니케이션이론(Theories of Communication)
언론학의 기본개념과 역사, 현대사회에서의 매스 미디어의 기능, 기초적인 연구방법 등을 학습하는 기본적인 코스이다. 매스미디어의 기능과 효과에 대한 기본 개념과 이를 기초로 한 매체별 특성과 사회현상을 사회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현대사회의 미디어에 대한 개괄적 이해를 목표로 한다.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접근하는 이론적 패러다임을 이해하고, 개별적 이론들을 습득케 한다.
  ■설득커뮤니케이션(Persuasive Communication)
설득 커뮤니케이션의 사회적 및 개인적 기능과 효과 등과 그에 관한 지금까지의 여러 이론들과 연구 결과 및 연구방법 등을 학습한다. 또한 태도, 행위, 개인차 요인, 메시지 요인, 상황 등 설득관련 주요 연구 대상에 대한 향후 연구 과제를 탐색하고 기존 연구의 방법론적 문제점과 개선 방향에 대해서 논의한다.
  ■조직커뮤니케이션(Organizational Communication)
조직사회의 특성과 구성원의 단계와 행태의 변화는 현대사회의 구조적 변화로 연결되고 있다. 구성원의 인간적 커뮤니케이션과 그 형태와 기능을 대상으로 이론적, 실제적 과정을 통해서 커뮤니케이션 기술과 발달과정을 의사결정, 갈등, 지도력 등의 변인들을 살펴본다. 특히 커뮤니케이션의 체계이론 중 네트워크와 연계시켜 비교·검토한다
  ■대인커뮤니케이션(Interpersonal Communication)
본 과목은 스피치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한 대인 커뮤니케이션 전반의 기초 이론을 점검하고 최근 연구경향을 소개하는 데 목적을 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뮤니케이션 능력, 인간관계의 형성 발전 및 유지, 메시지 전략, 언어적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등의 주제를 논의할 것이다. 이외에도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자기 노출, 기만, 유머 등 대인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다양한 토픽을 다룬다.
  ■비판커뮤니케이션(Critical Theories of Communication)
이 과목의 목적은 현대사회 커뮤니케이션을 비판적으로 이해, 설명하는 이론과 개념들을 학습하고, 이를 한국사회의 맥락에서 새롭게 성찰하는 훈련을 하는데 있다. 강의는 교수의 주제강의와 질의응답 그리고 인터넷 공간에서 주제토론으로 구성된다. 수강생들은 단순히 외국의 이론과 개념을 이해하기 보다는 한국사회의 매스커뮤니케이션 현상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높이기 위한 독서와 사고의 훈련을 받도록 한다.
  ■미디어와사회심리학(Media and Social Psychology)
매스컴의 사회적 역할과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사회학과 심리학에 미디어론을 접목한다. 기능주의와 갈등이론, 상징적 상호작용론, 현상학, 민속방법론, 심리학 등이 다루어진다
  ■미디어문화론(Studies in Mass Communication Culture)
비판이론, 헤게모니론, 페미니즘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라깡의 욕망이론, 포스트모더니즘론, 브로디외의 문화사회학이론을 배경으로 광고, 드라마, 영화, 패션, 음악 등의 메시지를 분석하고 비평한다.
  ■정치커뮤니케이션(Political Communication)
언론과 정치의 관계에 대한 이론연구와 사례분석을 한다. 신문과 방송의 기사보도, 텔레비전의 이미지정치, 한국언론의 선거보도경향, 텔레비전 토론, 선거여론조사 등이 다루어진다.
  ■미디어테크놀로지의이해(Understanding of Media Technology)
본 강좌는 정보 통신기술의 혁명적인 발달과 컴퓨터 기술의 융합 등 디지털에 기반하는 뉴미디어의 기술적 개요와 특성을 섭렵하고, 나아가 디지털에 기반한 커뮤니케이션 매체가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양식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인간 커뮤니케이션 변화와 사회적 함의를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이론뿐만 아니라 비판이론적 시각에서 평가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커뮤니케이션연구조사방법론
(Research Method of Communication)
논문작성시 필요한 연구방법을 위한 과정이다. 참여관찰, 질문지 작성방식, 통계처리방식 등의 계량적 접근방식과 현상학, 민속방법론, 구조주의 등 질적 접근이 다루어진다.





[언론전공과목]
■언론사상과언론법(Media Ethics and Law)
언론사상의 시대적 배경과 철학적 관점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형성된 언론 법을 연구하고 토론한다.
  ■지역언론연구(Studies on Local Journalism)
지방자치시대의 지방언론 특히 대전 충청지역 지역언론의 역할과 방향을 모색한다. 지역심문의 특성화 전략, 지역민방의 편성전략, 경영환경 등을 연구한다.
  ■글로벌 커뮤니케이션(International Communication)
인터넷, 영화, 비디오, 위성방송 등이 일반화되어 나타나는 정보왜곡이 함축하고 있는 국가, 인, 가치관 등의 문제점과 대안을 연구한다.
  ■뉴스와여론선전(News, Public Opinion and Propaganda)
사회가 다원화되는 민주주의사회에서 여론은 국민적 의사결정의 주요한 동인이다. 뉴스와 여론의 관계, 여론과 선전의 스킬과 특성, 사례분석과 문제점 등을 연구한다
  ■사이버커뮤니케이션(Information Society Communication)
인터넷, 핸드폰 등의 사이버매체 확산이 가져오는 정치, 사회, 문화, 인간관계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고 토론한다.
  ■메이킹뉴스(Making News)
신문, 방송 등의 뉴스 취재원, 게이트키핑과정, 인물과 기사의 서술형식, 뉴스의 유형, 뉴스의 객관성과 주관성, 뉴스가 현실의 반영인가 구성인가 등에 대해 연구한다.
  ■대중예술론(Studies in Mass Art)
연극, 공연, 기획전시, 음악공연 등 대중예술에 대한 이론강좌와 참여관찰 및 실무 분석을 통해 기획능력을 배양한다.
  ■스피치토론커뮤니케이션
(Speech & Persuasive Communication)
대중과 집단을 대상으로 말하는 사람의 표정, 억양, 리듬, 제스처, 언어사용 등의 스피치와 토론기법에 대해 연구한다.
  ■이미지언어론(Methods of Semiotics)
언어는 전통적으로 문자와 말로 국한되어 왔으나 영상매체의 발달로 이미지언어가 중시되고 있다. 사진, 판화, 그림, 텔레비전 등의 이미지언어에 대해 연구한다.
  ■보도편집론(Fundamentals of Newspaper Reporting and Editing)
신문과 방송의 언어, 사진, 음향, 카메라 사용기법 기사배열 등의 방식을 분석하고 연구한다.
  ■SNS와소셜미디어(SNS and Social Media)
본 강좌는 유튜브,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개념과 특성을 살피고 SNS를 둘러싼 사회적 쟁점들에 대한 고찰을 통해 SNS에 대한 사회과학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개설되었다. 소셜미디어라 불리우는 SNS가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양식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 인간 커뮤니케이션 변화와 사회적 함의를 고찰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언론학세미나(Seminar in communication)
이 수업의 목표는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최신 개념, 이론, 접근방법, 방법론 등을 소개함으로써 변화하는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현실을 이론적으로 포착하고 그에 대한 새로운 연구 프로그램을 모색하는 데 있다. 수업의 구체적 내용은 담당 교수의 재량에 따라 정한다.
  ■영상커뮤니케이션(Studies in Visual Communication)
이 강의는 문자 텍스트와는 다른 영상 텍스트의 분석을 그 대상으로 하여 영상 텍스트의 구성요소와 분석방법 등을 배운다. 영상 커뮤니케이션은 우선 구조주의 언어학적 모델과 문학이론 영화이론 등을 그 이론적 배경으로 살펴보고, 신문 사진이나 광고텍스트, TV드라마, 영화 등 영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다양한 텍스트를 직접 분석해 본다. 영상 텍스트는 언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진 것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시각에서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미디어경영론(Media management)
본 수업은 미디어 기업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경영학의 기본적 이론과 개념들을 학습하여 미디어 경영인으로서 갖춰야하는 비판적 경영의 원칙을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미디어 기업은 급변하는 미디어 시장에 적응해가는 것이 당면 과제이고, 디지털 기술로 인하여 과거와는 매우 다른 이슈들에 직면해있다. 이러한 새로운 환경에 맞는 조직의 의사결정, 인사, 재무, 마케팅, 미디어 상품 등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을 한학기 동안 해나간다.
  ■시사정치이슈세미나(Seminar on Current Political Issue)
지역 감정의 원인과 대책, 리더쉽 유형과 실제, 여성정치의 발전 방향, 선거의 양태와 전략, 민주화 과정에 대한 원인분석, 한국정당의 현실과 문제점, 노동문제, 지방자치의 실태와 문제점, 내각제와 대통령책임제의 장단점 비교 등 한국정치론에서 충분히 취급하지 못한 주제들을 다룬다. 지방자치의 정착과 더불어 지역 정치의 현안들을 다루는 비중을 높여 가며 주로 시사적인 문제들을 취급한다. 정세분석 및 선거전략수집, 정치광고 기획능력을 높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광고전공과목]
■광고연구(Advertising)
광고의 기초이론과 실제를 현대사회의 경제, 사회, 매스컴체제와 관련하여 강의한다. 특히 광고 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역할을 고찰하고 광고 기획, 제작 조사, 매체 등 광고현상을 구성하는 제부분을 강의함으로서 광고학의 기본원리를 이해하도록 한다.
  ■PR연구(Public Relation)
현대사회에서 중요성이 높아져 가고 있는 PR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기본요소들을 중점적으로 강의한다.
광고와 PR의 기본적인 차이점을 분명히 이해시키고 특히 일반적인 홍보보다 한층 넓고 다양한 Public Relations에 대한 올바른 개념을 정립한다.
  ■출판사보기획(Principles of Books and Magazines)
사보(사외보, 사내보)의 기획, 편집 제작과정을 익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사보의 기능과 유형, 주제설정, 필자발굴 및 선정, 원고청탁, 기사 작성, 편집실무 등 사보제작 전 과정을 이해하도록 하며 또한 국내의 주요 사보의 특성 분석을 통해 사보의 역할, 변화 추세 및 경향을 배우도록 한다.
  ■국제광고론(Global Advertising)
국제마케팅과 국제광고의 역사, 특성, 주요 전략, 다국적 광고대행사 의 배경과 전략 및 유형, 국제광고에 있어서의 경제적, 법적, 경영관리적 문제 및 문화적 차이, 국제광고의 사례연구 등이 주로 다루어진다.
  ■광고와소비자행동론연구(Advertising and Consumer Behavior)
광고 수용자인 소비자의 태도, 의사결정 과정 및 행동에 대해 심리적, 사회적, 마케팅,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이론적 관점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광고 전략 수립을 모색한다.
  ■광고크리에이티브연구(Creative Thinking for Advertising)
광고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필요한 창조적인 발상 및 기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법을 연구한다.
  ■마케팅의이해(Concepts and Issues in Marketing)
광고기획 및 전략수립을 위한 마케팅 개념, 환경, 전략, 전략적 도구 및 실제적 문제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목표로 하며 특히 최근의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마케팅 방향 및 전략의 경향 등을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 광고전략과의 연계를 시도 한다.
  ■광고매체관리론(Advertising Media Management)
광고의 주요 매체의 종류와 이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광고매체 계획의 수립과정과 집행에 필요한 이론, 전략 및 기법을 습득한다.
  ■기업광고캠페인연구(PR Campaigns)
기업광고, PR의 장기적인 목표를 수행하고 조직체의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해 공익 광고와 주장광고 등을 이용하여 사내외 캠페인을 전개하는 방법을 비교, 조사, 설계한다. 특히 현대 기업광고PR에서 주 도구로 활용되는 인쇄, TV, CATV, 디지털영상 이용한 캠페인의 전개방안을 연구한다.
  ■이벤트기획론(Event)
이벤트의 다양한 기법과 적용사례를 통해 이벤트의 기획, 관리를 연구한다.
  ■정치홍보론(Political Advertising Theory)
정치홍보의 원리와 실무에 필요한 지식들을 습득하게 하고, 선거과정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올바르고 효과적인 전략선택을 하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강좌에서는 주로 매스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일반론적인 이해, 홍보의 효과와 전략, 미디어의 선택과 그 변화양상, 선거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등을 중심으로 매스컴과 정치의 결합이 시대적, 공간적으로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고 변해 가는가를 중심적으로 취급한다.
  ■쟁점및위기관리론(Issue & Crisis Management)
위기관리PR의 개념을 명확히 정립하고 위기관리PR의 기획과 조사, 실행, 평가단계의 이론과 방법론을 익힘으로써 실제 위기관리PR을 단계별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언론관계 대응능력 차원에서 벗어나 통합적인 위기관리PR을 수행하고 기업의 위기상황에 보다 전략적이며 주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수업의 목표이다.
  ■광고심리학(Psychology of Advertising)
소비자에 대한 이해는 광고의 성패를 좌우하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 과목은 소비자의 심리, 소비자행동의 개념과 특성, 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 등과 관련된 제반 이론을 탐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목표 공중의 행동원리를 이해하도록 한다.
  ■광고매체와뉴미디어(Advertising media& New media)
최근 새롭게 등장하는 뉴미디어 환경의 특성과 광고와의 접목이 어떻게 일어나는 가를 각 뉴미디어의 특성별로 소개하고 이들 뉴미디어에서의 광고가 마케팅 전략상에서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를 연구한다. 특히 새로운 매체로 부상하는 옥외광고, 인터넷광고, 모바일 광고등 뉴미디어 광고의 전반적인 특성과 응용 가능성을 검토한다.

정보관리부서 : 시스템운영팀

최종 수정일 : 2021-08-02